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광우병 논란 중심 김용선 교수 해외 출국

광우병 논란 이후 언론과 일체 접촉 피해

국내 광우병 분야 전문가중 한 명인 한림대 의과대학장 김용선 교수가 해외로 출국했다.

 

김 교수는 지난 2004년 한국인이 인간 광우병에 취약한 유전자형을 갖고 있다는연구논문을 발표한 일 때문에 자의반 타의반으로 최근 미국산 쇠고기 전면 개방으로촉발된 광우병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인물이다.

 

김 교수는 오는 7일 열리는 국회 `광우병 청문회'에 출석을 요구받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5일 한림대 의료원에 따르면 김 교수는 지난 4일 핀란드로 2주 일정으로 출국한것으로 전해졌다.

 

의료원 측은 김 교수가 유럽병원과의 국제교류 문제를 협의하기 위해 해외로 나갔다고 설명하고 있다. 실제로 김 교수의 휴대전화로 통화를 시도하면 "해외로밍 중인 수신자에게 국제전화요금이 부과됩니다"라는 안내 멘트가 흘러나와 해외출국 사실을 뒷받침했다.

 

김 교수는 최근 불붙은 미국산 쇠고기 광우병 위험성 논란과 관련해 일체 언론과의 접촉을 피해왔다. 의료원 홍보실 관계자는 "김 교수와 통화가 되지 않으며, 특히 언론과는 전혀 만나려고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국내 유일의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 진단검사기관인 한림대 의대 일송생명과학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또 질병관리본부와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이 공동 구성한 인수공통전염병대책위원회의 `CJD(vCJD)/BSE 전문분과위원회'의 위원으로참여하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의 가축방역협의회 자문위원으로 있기도 하다.

 

김 교수가 소장으로 있는 한림대 의대 일송생명과학연구소 연구팀은 건강한 한국인 529명의 프리온 유전자를 분석했다. 프리온은 광우병을 일으키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분석 결과 94.33%가 129번째 아미노산(단백질의 구성단위) 자리에 부계와 모계에서 각각 메티오닌을 받은 메티오닌-메티오닌(MM)인 것으로 나타났다. 메티오닌은 아미노산의 일종이다.

 

지금까지 확인된 거의 100% 가까운 인간 광우병 환자는 메티오닌-메티오닌이었다.

 

이 연구는 지난 2004년 저널 오브 휴먼 제네틱스' 온라인판에 실렸었다.

 

김 교수는 이 연구 결과와 관련, 지난해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이나 영국은 인구의 약 40%가 메티오닌-메티오닌"이라며 "한국인이 광우병에 걸린 쇠고기를먹을 경우 인간 광우병에 걸릴 확률이 미국인이나 영국인에 비해 높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군산새만금 글로벌 K-씨푸드, 전북 수산업 다시 살린다

스포츠일반테니스 ‘샛별’ 전일중 김서현, 2025 ITF 월드주니어테니스대회 4강 진출

오피니언[사설] 진안고원산림치유원, 콘텐츠 차별화 전략을

오피니언[사설] 자치단체 장애인 의무고용 시범 보여라

오피니언활동적 노년(액티브 시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