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삼천동 광역매립장 주민협의체 전직 위원장 공금 횡령 의혹…횡령 들통나자 다시 채워넣기도…기금관리 허점투성이 대책 시급
전주 삼천동 광역쓰레기매립장 주민지원협의체 전 A위원장이 마을 지원기금을 횡령한 사실이 들통 나자 이를 다시 메꾼 사실이 알려져 파문이 일고 있다.
특히 A위원장에 앞서 장기간 위원장직을 맡아온 B씨도 임기 중에 지원대상자가 아닌 주민에게 지원금을 교부, 이중 일부를 나눠가졌다가 사법 처리된 바 있는 등 총체적 감사가 요구되고 있다.
12일 전주시와 주민지원협의체 위원들에 따르면 A위원장이 마을 공동 기금으로 조성된 공금 3480만원을 횡령했다가 이 같은 사실이 불거지자 횡령금액을 다시 입금하고 사퇴했다.
이 금액은 전주시와 서신대체매립장을 사용하기로 임대계약을 체결한 (유)전주에너지가 시에는 임대비용으로 매년 2400만원을, 주민지원협의체에는 매립지 사용에 따른 주민발전 기금 명목으로 매년 1800만원을 지원하고 있는 돈이다.
서신대체매립장은 기존의 서신동 매립장을 이전한 부지로 면적은 7만7800㎡이며 지난 2007년 9월부터 2022년 말까지 사용하기로 임대계약이 체결됐다.
그러나 지난해 9월16일부터 임기를 시작한 A위원장은 계좌에서 올해 1월 16일 현금 400만원을 꺼내는 방법으로 2월 6일까지 3486만원을 꺼내 썼다.
이 같은 사실은 2월 20일 한 위원이 C부위원장에게 보고하면서 알려졌고 이들은 A위원장을 불러 횡령한 공금을 채워 놓으라고 주문했다.
이에 A위원장은 2월 23일부터 6차례에 걸쳐 3488만원을 채워 놓았고 같은 달 25일 사직서를 제출, 3월 5일 최종 사표가 수리됐다.
이에 오는 15일 A위원장의 자리를 대신할 차기 위원장 보궐선거가 진행된다.
앞서 지난 2010년 전 위원장인 B씨도 매립장 지원금을 주민들에게 나눠주는 과정에서 지원 자격이 없는 사람에 대해 지원금을 줬다가 이를 다시 나눠 가진 사실이 적발돼 벌금형을 선고 받은 바 있고 지원 자격이 없는 사람에게 위증을 해달라고 부탁해 위증교사 혐의로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바 있다는 게 위원들의 설명이다.
특히 주민지원협의체는 시군의원과 대학 교수를 포함한 26명으로 구성돼 있지만 활동이 미약해 정작 협의체 내에서 발생하는 일에는 큰 관심을 갖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주민지원협의체 한 위원은 "매년 수억원씩 지원되는 각종 주민 지원금을 특정인들이 마치 쌈짓돈 쓰듯 주무르고 있다"며 "도대체 협의체가 주민 편익은 뒷전으로 자기 배불리기만 하고 있음에도 정작 교수와 기초의원들은 사안의 중대성도 모르고 이들에게 끌려 다니고 있다"고 토로했다. 한편 삼천동 광역쓰레기 매립장 보상 및 지원 현황을 보면 지난 2002년 출연금 30억원을 시작으로 매년 4억 원씩 주민지원협의체에 지원되는 등 현재까지 모두 70억3100여만 원이 지급됐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