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경제난 시달리는 노인 극단적 선택 많아 / 전문가 "1회성 아닌 민관 네트워크로 예방을"
10일 제10회 '세계 자살예방의 날'을 맞이했지만 도내에서는 좀처럼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람들이 줄지 않고 있어 자살 예방에 대한 특단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전북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2006년부터 5년 동안 도내에서는 모두 3008명이 자살했으며 이는 한 해 평균 601.5명, 하루 평균 1.64명 꼴이다.
연령별 자살자 수는 10~20대 42명, 21~30대 263명, 31~40대 429명, 41~50대 601명, 51~60대 476명 등 나이가 들어가면서 자살률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같은 기간 61세 이상 자살자가 전체의 40%에 해당되는 1204명에 달했다.
이는 고령화 시대에 노인인구가 증가한 탓도 있지만 질병 등을 앓고 있는 노인들이 정서적으로 침체를 겪고 가족들의 외면 속에 병원비 마련 등이 어려워지면서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또 노인자살은 농촌지역에서 더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시골마을에 독거노인이 많이 거주하고 제초제 등 각종 맹독성 농약을 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 밖에도 불황 등으로 20~30대 젊은 층의 자살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생활고에 시달리던 부모가 자식을 죽이고 자살을 기도하는 일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
실제 지난달 1일 전주의 한 아파트에서 생활고에 시달리던 A씨(31·여)가 9살, 6살 난 두 아들을 살해한 뒤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유서에는 A씨와 두 아들이 독극물을 마신 시간과 "생활이 힘들다. 아이들을 데리고 남편 곁으로 간다"는 내용이 쓰여 있었다고 경찰은 전했다.
앞서 A씨의 남편은 지난 6월께 스스로 목숨을 끊어 A씨는 우울증과 생활고에 시달려 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건의 경우 A씨의 남편이 자살을 했을 당시 경찰이 A씨에게 자살예방상담을 받도록 유도했었더라면 최악의 상황을 막을 수 있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전주 생명의전화자살예방센터 유찬영 센터장은 "A씨의 경우 남편의 자살로 '자살 고위험군'에 속해 있었다"며 "경찰이 자살 사건을 변사로만 처리하지 말고 가족 등 주변인의 상황을 고려해 상담센터에 알려주는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유 센터장은 또 "상담을 받은 뒤에도 자신의 부정적인 현실을 깨달으면 다시 자살 충동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다"면서 "자치단체가 자살 충동자들이 겪고 있는 근본적인 어려움을 해소 할 수 있도록 더 많은 노력을 해야 자살률이 줄어들 것"이라며 민·관 합동 자살예방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