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명중 10명 대리점 업주 / 대출 빙자 개인정보 빼내
대출을 빙자해 개인정보를 수집한 뒤 스마트폰 1000여대를 개통해 판매지원금 등 수십억원을 챙긴 일당이 경찰에 덜미를 잡혔다.
특히 적발된 13명 중 10명은 휴대전화 대리점 업주인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익산경찰서는 11일 타인의 명의로 스마트폰을 개통한 뒤 통신사로부터 판매지원금을 받고, 이 스마트폰을 대포폰으로 판매한 박모씨(44)와 양모씨(45), 송모씨(44)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기) 혐의로 구속했다.
경찰은 또 이를 도운 서모씨(36) 등 8명을 같은 혐의로 불구속 입건하고, 달아난 이모씨(41) 등 2명의 행방을 쫓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이들은 지난해 2월 22일부터 올해 1월 30일까지 피해자 박모씨(46) 등 966명의 개인정보를 이용해 스마트폰 1024대를 개통해 이동통신사로부터 판매지원금 15억원 상당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은 또 개통한 스마트폰을 한대 당 60만~70만원을 받고 대포폰 모집책에게 되팔아 10억원 상당의 부당 이득을 챙긴 혐의도 받고 있다.
조사결과 이들은 500여명의 피해자에게 "대출을 받으려면 휴대전화를 개통해야 한다. 추가적인 요금을 내는 것이 아니라 요식행위로 하는 것뿐이다"며 피해자들을 속인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구속된 송씨는 휴대전화 대리점을 돌며 "고객들이 휴대전화를 개통할 때 사용된 개인정보를 자신이 폐기하겠다"고 속여 200여명의 개인정보를 확보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스마트폰을 개통해 3개월 동안 사용해야 통신사에서 보조금을 지급한다는 점을 노려 스마트폰을 개통하고 3개월이 지나야 대포폰 모집책에게 되팔았다고 경찰은 전했다.
또 휴대전화 가입 후 명의자에게 가입 전 모든 내용을 다시 확인하는 '해피콜'을 명의자가 아닌 다른 사람에게 오도록 조작해 피해자들이 가입사실을 알지 못하게 하는 등 범행을 치밀하게 준비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범행 사실을 몰랐던 피해자들은 통신사로부터 300만~400만원(기기할부금·요금·소액결제)의 통신요금 입금을 독촉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피해자들의 신고가 잇따르자 익산 판매점을 통해 대포폰 유통 경로를 추적해 박씨 등을 붙잡았다.
선원 익산서 수사과장은 "피의자들은 전북을 비롯해 서울과 광주 등 대도시에 유통망을 두고 범행을 저질렀다"면서 "박씨의 2년간의 통장 내역을 분석한 결과 모두 74억원의 거래내역이 확인돼 추가 조사를 벌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