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4월의 숲을 바라보며

▲ 김경희
4월의 숲은 완성을 향해 제 모습을 갖추어가고 있었습니다.

 

젖살 오른 아기 살결 같은 나무의 어린잎들은 유록(幼綠)의 피부로 숲을 가꾸고 있었습니다.

 

다양한 나무들은 자기 본디의 모습과 체질에 맞게 잎 피우고 색 드러내면서 넓어지고 있었습니다.

 

그것을 바라보면서 나는 그 나무들과 풀을 통 털어 ‘숲’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숲은 개성 있는 나무들이 모여 하나의 세계를 형성해 갑니다.

 

끼리끼리 또는 서로 다른 이유를 인정하면서 뿌리와 줄기와 가지와 잎이라는 이름으로 우리들 머리·허리·팔·다리와 같은 역할을 분담하면서 한 해 한 계절을 살아냅니다.

 

그리하여 숲의 영혼 또한 우리의 심장 같이 보이지 않는 뿌리에 두고 있는 듯합니다.

 

뿌리가 부실한 나무는 썩습니다.

 

가는 뿌리가 적은 나무는 건강한 숲을 이룰 수 없습니다.

 

굵은 뿌리도 중요하지만 잔뿌리의 역할도 매우 소중합니다.

 

사람 사는 곳도 마찬가지입니다. 큰 자리에 있는 사람만 중요한 일을 하는 게 아닙니다.

 

가난한 이웃과 양심적인 서민들이 건재한 뒤 감투 족들도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은 하늘의 뜻입니다.

 

생각을 그리하다보니 바라보는 숲도 큰 나무만 있는 게 아니었습니다.

 

한마디로 항꾸네(함께) 제 자리에서 제 빛을 소리 없이 드러내며 ‘완성의 숲’을 향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었습니다.

 

비 내리는 4월 중순 밤이었습니다. 여암선생과 정종대포 집에서 백화수복을 마셨습니다.

 

테이블을 가운데 두고 마주앉아 격 있게 대화를 풀어나갔습니다.

 

그 때, 여암선생 뒤에는 커다란 거울이 걸려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 거울 속에 알 듯 한 사람이 비쳤습니다.

 

눈동자 고정시켜 보니 그게 바로 나였습니다.

 

얼굴 양분하여 아랫부분 코와 입가주름은 포탄 맞은 땅거죽처럼 패이고 굴곡져 있었습니다.

 

짜증이 묻어나는 순간이었습니다. 거울 속 현실의 나와 마음 속 과거의 내가 융화를 못한 것이지요.

 

얼굴에 불만을 느끼며 나는 ‘이 얼굴 되기까지 무엇을 하고자 했는가?’ 하는 생각이 무섭게 가슴에 얹혔습니다.

 

그 순간 ‘술 안 들고 무슨 생각하느냐’는 여암선생의 걸걸한 음성에 나는 현실로 돌아올 수 있었습니다.

 

내 등 뒤 TV에서는 진도 앞 바다 〈세월호〉 침몰사건 소식만 되풀이 토해내고 있었습니다.

 

희생당한 어린 영혼들에게 나이 든 자로서 미안하고 무참한 마음이었습니다.

 

밤 시간은 깊어가고 희생당한 유족들 심장은 타들어가고 있었습니다.

 

구조 활동은 거의 없이 정부의 대책회의는 이틀이 지나고, 학생들을 전원 구조했다는 거짓 방송은 유족들을 분개하게 했습니다.

 

국가도 정부도 군도 경찰도 검찰도 힘을 못 쓰고 있었습니다. 조국의 한계 같은 것이 뼈저리게 느껴졌습니다.

 

“움직이면 더 위험하니 방에서 꼼짝하지 말라”는 어른의 말을 곧이곧대로 들은 학생들은 모두 물 속 저승으로 수학여행을 떠나고 말았습니다. 그

 

러나 그 말을 믿지 않고 밖으로 나온 사람과 선장께서는 살아남아 세상 사람이 되었습니다.

 

이것이 침몰한 〈세월호〉가 남긴 ‘4월의 진실’입니다.

 

세상은 그렇듯 단장의 아픔인데 숲은 4월의 하늘 아래에서 양떼의 털 같이 부클부클 연한 녹색 옷을 입고 짙어만 갑니다.

 

그 숲 앞에서 나는 생명의 의미와 완성되어가는 숲을 맨눈으로 실감하고 있었습니다.

 

4월의 숲을 바라보며 스스로 행복해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가슴 한 곳의 찜찜함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요.

 

세상 속에서 끓고 있는 ‘4월의 아픔’때문이 아닐까요.

 

△ 수필가 김경희씨는 1985년 〈월간문학〉으로 등단, 펜클럽한국본부 전북위원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2035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50∼60%' 또는 '53∼60%'로

군산군산시, 체납차량 야간 영치 단속 실시···고질·상습 체납 17대 적발

군산전북에서 가장 오래된 콘크리트 다리 ‘새창이다리’ 존폐기로

전시·공연부안여성작가 13명, 30일까지 제9회 단미회展 ‘Art Memory’

부안김양원 부안발전포럼 대표, 22일 「통쾌한 반란,함께 만드는 내일」 출판기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