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라면1봉 포화지방·나트륨, 기준치의 51%·86%"

라면 한 봉지의 포화지방량은 하루 섭취 기준치의 절반, 나트륨은 80%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원은 시판 중인 라면 12개 제품을 조사한 결과, 라면 1봉지의 포화지방 함량은 1일 영양소 기준치의 51.3%, 나트륨은 86.5%였다고 15일 밝혔다.

 조사대상은 팔도 '꼬꼬면'과 '틈새라면 빨계떡', 삼양식품의 '나가사끼짬뽕'과 '삼양라면', 농심의 '너구리우동 얼큰한맛'·'무파마탕면'·'신라면'·'안성탕면'·'오징어짬뽕', 오뚜기의 '진라면 매운맛'과 '참깨라면'이다.

 하루 섭취 포화지방량은 15g인데, 이들 라면에는 6.3∼9.1g의 포화지방이 함유돼 있다.

 나트륨 함량도 1천350∼2천69㎎으로 기준치(2천㎎)를 넘어서는 경우도 있다.

 반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등 필수 영양소는 한 끼 영양소 기준치의 각각 56.3%, 71.6%, 97.6%여서 식사 대용으로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칼슘 함유량은 하루 영양소 기준치(700㎎)의 4.2∼31.6% 정도였다.

 안전성 조사에서는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이 모든 조사대상 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다만, 참깨라면의 건더기스프 중 '고소한 참깨 계란 블럭'의 내용량(6.6g)이 표시량(5g)을 초과해 표시기준에는 부적합했다.

 한편, 소비자 1천 명을 대상으로 라면 섭취 빈도를 조사한 결과 일주일에 1∼2회(59.9%)라고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라면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는 국물 맛(61.4%)이었고, 선호하는 맛은 매운 맛(56.7%)이었다.

 조사 결과는 공정거래위원회 스마트컨슈머 사이트(www.smartconsumer.go.kr)에 게재됐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소비자의 건강한 식생활을 위해 포화지방 함량이 적고 불포화지방 함량이 높은 대체유의 사용과 지속적인 나트륨 저감화를 추진해야 할 것"이 라고 강조했다.

 이어 "소비자도 포화지방과 나트륨 섭취를 줄이기 위해 라면 섭취 시 국물을 적게 먹거나 스프를 적게 넣어 조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법원·검찰길 가던 여성 4명 추행한 전주시청 공무원⋯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

법원·검찰중앙지검장 박철우·대검 반부패부장 주민철…검찰 고위급 인사

익산‘ESG 선도’ 하림, 국내 양대 평가 최고 등급 획득

군산군산시, 겨울철 강설 대비 제설 대책 본격 추진

임실임실군 ‘아삭아삭 김장 페스티벌’ 21일부터 치즈테마파크에서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