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물 수수 최소 100억원대
‘다스는 MB 것’ 사실상 결론
뇌물수수 등 각종 의혹에 휩싸인 이명박전 대통령의 검찰 소환 조사가 초읽기 단계에 들어갔다. 1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은 이달 중 이 전 대통령을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막바지 보강 수사를 벌이고 있다. 애초 검찰은 6·13 지방선거 영향 논란을 의식해 선거 출마자의 공직자 사퇴 시한인 이달 15일 전에 조사를 매듭짓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했다. 그러나 막판 수사 단계에서 이팔성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과 대보그룹 측의 불법자금 제공 의혹이 추가로 불거지면서 이 전 대통령 조사는 일러도 이달 중순께야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검찰 관계자는 “현재로써는 새롭게 불거진 의혹 등에 관한 필요한 수사를 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시한을 정해 놓고 수사를 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이 전 대통령을 향한 검찰 수사는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청와대 상납 의혹과 관련해 1월 12일 각각 ‘MB 집사’, ‘성골 집사’로 불린 당시 청와대 김백준 전 총무기획관과 김희중 전 제1부속실장의 자택과 사무실을 전격적으로 압수수색하면서 본격화했다.
이후 수사는 △ 국정원 특활비 의혹 △ 다스의 BBK 투자금 140억 반환 관련 직권남용 및 삼성 소송비 대납 의혹 △ 비자금 조성 및 이시형씨 편법 지원 등 다스 경영비리 의혹 부분을 중심으로 전개됐다. 특활비 의혹과 관련해서는 김 전 기획관, 김 전 실장, 장다사로 전 총무기획관,이 전 대통령의 친형인 이상득 전 의원 등에게 최소 18억5000만원의 국정원 자금이 흘러간 것으로 검찰은 파악했다.
특히 검찰은 지난 5일 특활비 4억원을 받은 혐의로 김백준 전 총무기획관을 구속기소 하면서 이 전 대통령을 ‘주범’으로, 김 전 기획관을 ‘방조범(종범)’으로 규정했다. 다스와 관련한 광범위한 의혹도 이 전 대통령이 다스의 실소유주라는 결론이 사실상 나면서 구도가 분명해졌다는 평가다.
국가기관을 동원해 다스의 떼인 투자금을 받아줬다는 직권남용 의혹, 최소 100억원대가 넘을 것으로 추정되는 다스의 조직적인 비자금 조성 및 이시형씨 개인 회사 일감·자금 몰아주기 의혹에도 이 전 대통령의 해명이 필요한 상황이다. 연합뉴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