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금요수필] 금년 한해는 정말 후회 없이 살자 -

안도
안도

우리고장 출신 송대관의 <새 출발> 이라는 노래다. <새 출발이야, 저 하늘도 손뼉 치며 나를 축복할거야. 운명아 비켜라. 내가 지나간다. 힘들고 지친 몸 붙잡지 마라. 뒤돌아볼 시간이 없다. 서럽고 괴로운 지난 날 가슴에 묻고 뛰고 또 뛴다. 내 인생은 만든다. 오늘을 놓치면 나는 낙오자, 희망을 잃지 않고 달려 가면은 축복할거야>

우리는 해마다 희망과 기대 가운데 새해를 맞이한다. 새해를 맞아들이는 길들이 다양하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마음’을 새롭게 하는 일이다. 그래서 연말연시 즈음이면 누구나 다 마음을 돌아보고 새로운 결심의 시간을 갖는다. 이렇게 하는 것은 아마도, 한 번 흘러가면 돌이킬 수 없는 시간의 불가역성에 대한 깨달음과 그 시간 안에서 촌음을 아끼고 시행착오를 줄여 진선미의 삶을 살려는 마음 스스로의 울림인 듯하다.

새로운 결심으로 새해를 시작하며 꼭 지녔으면 하는 마음은 곧 ‘새 마음’이다. 정채봉 시인은 <첫 마음> 에서 ‘새해아침에 찬물로 세수 하면서 먹은 첫 마음으로 1년을 산다면, 학교에 입학하여 새 책을 앞에 놓고 하루 일과표를 짜던 영롱한 첫 마음으로 공부를 한다면, 첫 출근하는 날, 신발 끈을 매면서 먹은 마음으로 직장 일을 한다면 그때가 언제인지 늘 새 마음이기 때문에 바다로 향하는 냇물처럼 날마다 새로우며, 깊어지며, 넓어진다’고 했다. 새해를 맞이하며 시인이 노래한 것처럼 늘 새 마음, 첫 마음으로 살았으면 좋겠다.

조선조 정조 임금 때 항상 실학을 강조했던 성재(性齋) ‘허전’이이라는 학자가 있었다. 그는 자신의 문집에 ‘歳時來拜人 歳時來拜人 半是鬍眉皓 不知己年高 還驚少年老’라는 5언 절구를 남겼다. 해석을 하면 새해에 세배하러 찾아오는 사람/ 절반은 수염 허연 사람들이네/ 내 나이 많아짐을 알지 못하고/ 소년들 늙었음에 도리어 놀라네. 라는 시다.

우리는 지금까지 새해를 어떻게 맞이했을까? 어렸을 때는 세뱃돈이 생겨서 좋았고, 새 옷이 하나 더 생겨서 좋았고, 나이를 한 살 더 먹게 되어 좋았다. 또 무언가 새로운 듯 한 분위기 속에서 막연히 좋은 일이 많이 생길 것만 같았고, 거창한 신년 계획을 세워 놓고 계획표만으로도 한 뼘 더 성장한 듯 의기양양했었다. 그리고 언제부턴가는 달력의 빨간 날이 되었고, 그저 어제의 다음날이 되지 않았나싶다.

그런데 어느 날 거울로 본 우리는 위의 시에서처럼 나이를 먹었다. 위의 시는 노시인이 새해를 맞으면서 느끼는 감정을 평이하며 아주 순수하게 표현하고 있다. 나이가 들면서 새해에 인사를 드려야 할 사람은 점점 줄고, 찾아와 인사하는 사람이 점점 늘어나게 마련인데, 이 시에서는 찾아오는 이들 중 머리와 수염이 하얀 사람이 절반이나 된다고 하였다.

평소 자신의 나이를 크게 인식하지 못하다가 찾아오는 젊은이들을 보고 노인이 되어버린 자신의 모습에 시인은 깜짝 놀라고 있다. 누구에게나 똑같이 주어지는 새해지만, 결코 누구나 똑같지는 않다. 어떤 이에게는 희망이, 어떤 이에게는 그냥 휴일이, 어떤 이에게는 서글픔이 될 지도 모른다. 새로움은 언제나 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그 가능성을 현실로 만들 수 있는 사람은 바로 나 자신일 것이다.

우리의 짧은 삶이지만 잘 살면 한 번으로도 족한 것이 인생이다. 문제는 '잘' 사는 것이 쉽지 않다. 새로 맞은 한 해를 잘 살아보자고 다짐해 본다. 다짐은 줄이고, 행동을 늘리는 한 해를 살자고 생각했는데 어느새 또 다시 이렇게 다짐을 한다. 금년 한해는 정말 후회 없이 살자.

 

* 안도 시인은 전북문인협회 회장과 전북문학관 관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전라북도 국어진흥위원회 위원장과 전북교육문화회관 시. 수필 전담교수로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