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보이스피싱 621건, 123억 5000만원 피해
전년 동기보다 범죄 건수 36%, 피해액 21% 줄어
수사기관 등을 사칭하는 수법의 보이스피싱 범죄에 주로 젊은 층이 피해를 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8일 전북경찰청은 지난 한 해 동안 도내에서 발생한 보이스피싱에 대한 범죄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경찰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에서는 621건이 발생해 총 123억 5000만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이는 2019년 발생한 보이스피싱 범죄(970건)보다 36%가 감소한 수치이며, 피해액(155억 6000만 원) 역시 20.6%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보이스피싱 범죄 발생 건수는 2017년 611건에서 2018년 771건, 2019년 970건으로 꾸준히 증가하다가 지난해(621건) 대폭 감소했다.
전국적(16% 감소)으로 보이스피싱 발생 건수는 감소했으나 피해액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으나, 전북경찰청은 자체적으로 보이스피싱 범죄 예방 홍보활동 등으로 발생 건수와 피해액 모두 감소한 것으로 경찰 관계자는 내다봤다.
지난해 보이스피싱 발생 유형을 살펴보면 저금리 대환대출이 가능하다고 속이고 기존 대출에 대한 상환자금, 각종 수수료 등 명목으로 돈을 계좌이체하거나 인출하도록 유도하는 수법의 대출사기형이 503건(81%)로 가장 많았으며, 수사기관을 사칭해 범죄에 연루됐다고 속이고 범죄 관련성 확인, 자산 보호 등 명목으로 돈을 계좌이체하거나 인출을 유도하는 수법의 기관사칭형이 118건(19%)으로 뒤를 이었다.
특히 기관 사칭 수법의 경우 젊은 층에서 높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관 사칭 피해자 118명 중 절반을 넘는 60명(50.8%)이 20대인 것으로 분석됐으며, 60대 이상이 20명(16.9%), 30대 16명(13.6%), 50대 20명(11.9%), 40대 8명(6.8%) 등이었다.
주된 사칭 기관은 검찰(81건·68.6%)과 경찰(21건·17.8%), 금감원(5건·4.2%) 등으로 집계됐다.
피해금을 수취하는 유형이 과거 계좌이체 수법에서 상품권 등을 이용하는 수법으로 진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9년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 발생 건수 126건 중 가장 많은 피해금 요구 수법은 계좌이체가 96건(76.2%)으로 가장 많았다. 반면 지난해의 경우 118건 중 가장 많은 요구 수법이 상품권과 소액결제 형식(48건·40.7%)으로 집계됐다.
이에 대해 경찰 관계자는 “수사기관에서는 전화상 등을 통해 금전을 요구하지 않는 만큼 금전을 요구할 경우 의심을 해야 한다”며 “앞으로도 전북경찰에서는 보이스피싱 단속 강화와 홍보 등을 통해 피해 예방을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