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한지가 국내외에서 판매량이 증가하는 등 활발한 산업화를 다져가고 있다.
10일 전주시에 따르면 2017년부터 판로확대를 모색해 온 전주한지가 공공부문은 물론 교육·문화재 복원·민간기업 등까지 다방면에서 가시적 성과를 보이고 있다.
정부·중앙부처·산하기관 등 공공부문의 경우 지난해 한지 표창장과 임용장(A4 사이즈) 용도로 120만 장이 판매됐다.
2017년 8만 장을 납품한 후 중앙부처 등의 큰 호응을 얻어 2018년 105만 장, 2019년 112만 장, 2020년 120만 장으로 판매량을 늘려왔다. 지난해 정부훈포장용 전통한지로만 1만 8000장을 납품했다. 올해는 모든 장관 명의는 물론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모든 기관에서 제작되는 표창장·상장에 사용돼 판매량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문화재 복원 분야에서도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올 상반기 조선 4대 궁궐과 종묘의 창호 보수에 1억 5000만 원가량의 전주한지가 활용될 예정으로, 전주한지장들의 자부심이 높아지고 전주한지의 판로도 넓어졌다는 평가다.
특히 국내 민간 문화재 보존기관·연구소에서 관심과 구매가 높아졌는데, 이는 전주한지가 프랑스 루브르박물관과 이탈리아 국립기록유산 보존복원 중앙연구소(ICRCPAL)로부터 우수성을 인증받으면서 인지도가 상승했다고 시는 분석하고 있다. 일명 ‘이탈리아 인증받은 한지’로 납품이 성사되고 있다.
해외에서는 프랑스 루브르와 바티칸에 이어 이탈리아 ICRCPAL 등에 전주한지로 제작된 세계기록문화유산 복원 샘플을 제공해왔고, 피드백을 교류하고 있다. 이와 관련 올 상반기 국제세미나 개최도 준비하고 있다. 다만 코로나19로 인해 방법과 시기는 논의중이다.
교육분야에서는 전주한지로 전주·완주·임실 등 3곳 지역교과서를 제작하고 있는데, 전국 지역교과서 및 교육청 내 전주한지사용을 시도하고 있다.
지난해부터는 민간기업도 문을 두드리고 있다. 전북은행, 신협과 업무협약을 맺고 임용장·표창장 제작 등 기업 활동 상품에 전주한지 납품을 하고, 올해는 포스코와 협약을 맺고 납품할 예정이다.
최락기 전주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시는 1000년이 넘게 지속돼온 세계 최고의 한지라는 전통종이를 복원하고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올해 조성될 예정인 전통한지 생산시설을 통해 다양한 분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현재 전주 전통한지를 제작하는 장인은 4명·업체는 6곳이다. 전통한지는 기계한지에 비해 2~3배 정도 가격이 비싸지만, 보존성이 우수하고 색상이 고우며, 표면의 질감이 부드러운 것으로 알려졌다. 또 두께감도 좋아 닥섬유가 살아있는 느낌을 그대로 받을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