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주부 A씨는 가계가 어려워지자 지난해 전주시 공공일자리 사업에 선정돼 보육도우미를 했다. 올해는 집에 홀로 있는 자녀 돌봄에 전념할 생각이었지만, 생활이 나아지지 않아 최근 다른 분야로 재신청했다.
취업준비생 B씨는 생활비 감당의 어려움으로 올초 공공일자리 사업에 지원했지만 높은 경쟁률 탓에 통과하지 못했다. B씨는 “지난해부터 코로나19로 구직이 어려운데 공공일자리는 하루 4시간 근무하면서도 임금이 안정적이어서 취업준비 병행이 가능할 것 같았다”고 했다.
코로나19 사태로 2년째 고용시장과 지역경제가 얼어붙으면서 자치단체 공공일자리 사업에 지원이 쏠리고 있다. ‘IMF시대 이후 최악의 고용쇼크’ 속 정부 예산 감소로 공공일자리 마저 줄면서 정부차원의 고용 보완책이 요구된다.
15일 전북도 등에 따르면 자치단체마다 국비와 도·시·군비가 일부 매칭되는 공공근로 일자리 사업을 상반기 진행하고 있는데 지원자가 대거 몰렸다.
공공일자리 선정자는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공공기관·다중이용시설 방역, 백신접종 지원, 행정보조업무, 환경정비 등의 업무를 한다. 3개월간 주 20시간(일 4시간) 근무, 월급 약 100만 원이 기본 근로조건이다.
전주시는 14일 마감한 국비지원 대규모 공공일자리 ‘2021 희망근로 지원사업’을 비롯해 상반기 4차례에 걸쳐 1250명을 채용했는데, 3760여 명이 몰렸다. 3대1이 넘는 경쟁률이다.
사업별로 구분하면 경쟁률은 대폭 올라간다.
전주시가 올초 처음 뽑은 지역방역일자리 선발에는 145명 모집에 978명이 몰리면서 약 7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이후 1~2월 공공근로 일자리 선발에는 1단계 141명 모집에 953명, 2단계 160명 모집에 711명이 몰렸다. 14일 모집을 마감한 800명 채용규모 희망근로 일자리 사업은 현재 각 주민센터에서 신청자 수를 집계중이지만 최소 1120명 이상이다.
이같은 공공일자리 쏠림현상은 전북 전체에서 나타나고 있다.
지난 1월 전북 14개 시·군에서 생활방역·공공근로 등 공공일자리 1085명을 모집할 당시 6300여 명이 접수했다. 122명을 모집했던 군산시는 2810명이 지원하면서 23대1 경쟁률을 보였고, 정읍시는 36명 모집에 419명이 지원했다.
공공일자리 경쟁이 치열한 이유는 코로나19 사태로 실직자, 휴·폐업자, 무급휴직자 등은 늘어나는데 지역경제 침체로 민간 고용창출 역시 이어지지 않아서다.
정부의 일자리 보완책이 요구되는 가운데 단기적 공공일자리보다는 기업 지원 등을 통한 고용시장 활성화, 양질의 일자리 생성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민간 고용시장이 얼어붙자 정부가 직접 공공일자리를 만들어 공급하고 있지만, 수요보다 부족한 공급·경력을 쌓기 어려운 단순 일회성 업무 등이 고질적으로 제기됐던 문제다.
민간채용보다 공공일자리 의존성이 컸던 지난해 전주시 고용률을 보면 15~64세 고용률은 62.9%로 전년보다 0.9%p만 줄었지만, 청년 고용률은 30.3%로 전년보다 2.7%p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양질의 일자리가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다. 취업시장에서 ‘IMF세대보다 심각한 코로나19세대’가 나오는 이유이기도 하다
시·군 관계자들은 “지난해보다 국비가 줄면서 공공일자리가 20%가량 감소했는데 여전히 경쟁률이 높고 다양한 분야를 열어달라는 요구도 있다. 이에 청년과 신중년 일자리 사업 등 다양한 일자리 지원책을 준비하고 있고, 정부 정책도 주시하고 있다”고 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