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공사 후 절반만 포장된 볼썽사나운 전주도심 도로

중화산동 일대 노후급수관 교체로 도로 바둑판식 포장
시민들 “덕지덕지 포장으로 운전 불편·미관 해쳐”
시 “시민 불편 이해, 예산 부족·포트홀에 우선순위 밀려”

전주시가 중화산동 일대 노후급수관 교체사업 후 도로포장을 부분적으로 진행해 시민 민원을 야기하고 있다.
전주시가 중화산동 일대 노후급수관 교체사업 후 도로포장을 부분적으로 진행해 시민 민원을 야기하고 있다.

20일 찾은 전주 중화산2동 주민센터 맞은편 상가·주택단지. 구역 외곽을 도는 깔끔하게 포장된 도로를 지나 상가·주택구역 내부 차도로 들어서니 모자이크판처럼 알록달록한 도로가 눈에 띄었다. 2차선 오른쪽 도로는 반듯하게 포장된 반면, 왼쪽은 노후돼 갈라진 길 위 군데군데만 포장됐다.

이곳은 전주시가 지난해 노후급수관 교체를 위해 굴착한 구역이다. 전주시는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58억 원을 들여 중화산동·서신동 일대 노후급수관 교체 사업을 하고 있다. 오래된 배수관이 종방향으로 길게 묻혀 있던 오른쪽 도로는 굴착 후 전면포장했지만, 왼편에선 맞은편 건물과 연결된 짧은 배수관들을 꺼내면서 해당 부분들만 재포장해 도로가 상대적으로 울퉁불퉁하다.   

지난 1월부터 인근 주민들은 주민센터와 지역구 시의원에게 민원을 제기했다.

동네 한 주민은 “오래된 도로에 부분부분만 포장을 해놔 다니기에 불편하고 볼썽사납다”며 “도로 굴착 사업을 하면 포장을 제대로 해야 하는데, 노후 급수관 교체해도 도리어 덕지덕지 포장된 도로가 낡은 원도심이라고 보여주는 것 같다”고 했다.

굴착공사 후 절반만 포장된 도심 속 도로가 미관저해와 주민생활의 불편을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벌어진 데에는 굴착사업 담당부서와 도로관리 부서 모두 예산부족으로 눈치만보다 사후 도로 관리가 미비했던 탓으로, 궁극적으로 도로 등 사회기반시설 관련 예산 확충 필요성이 요구된다.

사업을 진행한 맑은물사업본부와 도로를 관리하는 걷고싶은도시과 모두 원도심의 노후 도로의 관리 필요성은 공감했지만, 도로관리 담당이 포괄적이고 예산도 부족하다보니 중화산동 일대가 관리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맑은물사업본부가 부서업무 일환으로 도로를 파헤쳤기 때문에 도로관리 필요성은 있지만, 원칙적으로 상수도 교체 사업 외에 도로포장 등 관리의 의무는 없는 상황이다. 이에 관련예산을 추가로 배정받아야 하는 상황이다보니 해당 과에서도 사업구역 최소한의 도로포장만 진행했다.

문제는 도로관리를 담당하는 걷고싶은도시과에서도 관련예산이 턱없이 부족해 도로포장은 여력이 없는 실정이다. 올해 전주시 도로관리 예산이 완산구·덕진구 각각 8억 원, 총 16억 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는 최대 2㎞ 도로포장이 가능한 예산으로, 이마저도 노후된 도로 곳곳에 발생하는 포트홀을 정비하기에 급급하다.

전주시·의회 관계자들에 따르면 도로 등 사회기반시설 예산은 국비지원 근거가 없어 전액 시비로 충당되는 데다 특정 수혜 지역·계층이 없어 사실상 뒷전으로 밀리는 예산이다. 이렇다보니 도로 정비는 연평균 10억~15억 원의 예산만 배정된다. 원도심 내 체계적인 도로 정비가 이뤄진 적이 없는 전주시의 경우 정비가 시급한 도로만 3485곳·1075㎞인데 해당 예산으로는 중화산동 구역처럼 매년 땜질식 보수만 가능하다.

시 관계자는 “도시가 오래되고 규모가 커지는 만큼 마스터 플랜을 통한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 ”며, “추경에서 예산을 추가로 확보할 것”이라고 했다.

김보현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