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업소, 매출 감소·비용 부담에 전자출입명부 설치 꺼려
수기명부로 출입자 관리하지만 연락처·거주지역 확인 어려워
전주시 “명부 외 CCTV·카드내역 추적 등 동선 확인 가능”
“웬만하면 잘 써주시는데…가끔 흘려 쓰시는 분도 있어요.”
26일 오전 전주시 덕진구 인후동 견훤로. 대로변 인근에 위치한 한 식당이 문을 열고 손님을 맞이하고 있었다. 가게 입구에 들어서자 가장 먼저 눈에 띈 건 손소독제와 수기로 작성하는 출입명부다. 명부에는 벌써 다녀간 손님들의 방문 시간, 휴대전화 번호, 주소 같은 인적 사항이 적혀 있다. 몇 장 뒤로 넘겨보니 이전에 다녀간 손님들 기록이 있었다. 하지만 중간중간 대충 날려쓴 글씨로 인해 누가 왔다갔는지 그들의 인적 사항을 파악하기 힘들었다. 두꺼운 명부에는 그동안 방문기록이 빼곡히 적혀 있었는데, 감염자 동선 파악에 핵심인 휴대전화 번호와 거주지역을 전혀 확인할 수 없었다. 주변에 다른 전자출입명부도 없었다.
대학가 한 식당도 수기 명부만 존재했다. 인근의 상가 5곳 둘러본 결과 대부분 전자출입명부 사용을 꺼려했다. 매출도 감소하는 상황 속 전자출입명부 설치 비용이 부담되서다. 번거롭고, 수기를 선호하는 시민들이 많아 어쩔 수 없이 수기명부만 사용하는 곳도 있었다.
식당을 운영하는 김희숙 씨(57·여)는 어르신분들이나 중년층 중에도 수기를 선호하는 분이 있다”라며“QR코드 기계 설치도 번거롭고 낯설어 사용하고 있지 않다”고 했다.
전자출입명부에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같은 제품들이 사용되는데, 설명을 들어도 다루기가 어려워 꺼려하는 상가도 있었다.
수기명부만 의존하는 방식은 되려 방역의 구멍을 초래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수기 명부는 허위기재가 이뤄질 수 있어서다.
실제 지난 20일 울산 유흥업소에서 집단 감염이 발생했다. 당시 해당 유흥업소는 전자출입명부가 없었으며, 수기 출입자명부는 허위기재가 된 경우도 다수 발견돼 방역당국이 동선추적에 어려움을 겪었다.
전주시는 점검 대상 상가들에 대해 불시단속을 벌이고 있다. 이때 방역수칙 위반 여부를 조사하면서 수기출입명부 작성 여부도 확인하고 있다. 시는 확진자 동선 추적에는 수기출입명부 외에도 CCTV, 카드사용내역 추적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고 있어 걱정은 안 해도 된다는 입장이다. 유흥시설 같은 중점관리시설에는 전자출입명부를 반드시 설치하도록 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수기출입명부를 같이 병행 할 수 있도록 조치한 상태다.
시 관계자는 “출입명부 작성은 가장 기초적인 방역수칙이자 시민들에게 경각심을 주는 수단”이라며 “전자출입명부에 낯선 업주를 위해 안심콜 같은 대체재 홍보를 검토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