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태풍, 장마 앞두고 있는데’ 전북 산사태 취약 지역 1900여곳

산사태 위험 1등급 비율 13%…전국서 두 번째로 면적 넓어
취역지역 1970곳…완주 410곳·남원 231곳·임실 222곳 등

태풍과 장마철을 앞두고 전북지역 산사태 위험지역이 1900여 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산림청과 전북도 등에 따르면 전국 17개 광역시·도 가운데 전북은 ‘산사태 위험 1등급’ 면적은 5만 152㏊(비율 13%)로 강원(15%)에 이어 두 번째로 산사태 위험면적이 넓었다.

2등급은 9만 6291㏊(25%), 3등급 13만 7946㏊(35%), 4등급 8만 336㏊(21%), 5등급 2만 5420㏊(7%)의 산사태 위험 면적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북은 화강암질 토양이면서, 급경사지가 많고, 침엽수림 비율이 높아 위험지역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전북의 산사태 취약구역은 총 1970곳에 달한다. 완주가 410곳으로 가장 많았고, 남원 231곳, 임실 222곳, 진안 195곳, 장수 193곳, 정읍 174곳, 무주 132곳, 전주 106곳 등의 순으로 분포해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최근 여름철 집중호우가 잦고 호우의 강도가 세지고 있어 산사태 위험이 높은 편”이라며 “전북의 산지의 경우 경사도도 높고, 침엽수림 비율이 48%에 달해 산사태 위험등급도 높다”고 설명했다.

본격적인 여름철이 시작되기 전 산사태 위험 지역에 대한 정비 및 대책마련의 목소리가 나온다.

지난해 전북지역에 쏟아진 집중호우로 인해 산사태가 422건이 발생했다. 도는 해당 산림피해지에 841억 원을 투입해 복원 및 방지를 위한 2차 피해조치를 완료한 상태다.

도는 올해 188억 원의 사방예산을 투입, 인명 및 재산피해 예방을 위한 주민생활권 등 위험요소가 높은 산사태 취약지역의 선제적 사방사업을 시행한다는 계획이다. 사방이란 폭우나 강한 바람이 불 때 심하게 요동하거나 무너져 내리는 흙으로 인해 큰 피해를 방지하는 작업이다.

또 전주·정읍·남원·완주·진안·무주·장수·임실 등 산사태 취약구역이 집중된 8개 시·군에 ‘산사태 현장예방단원’ 32명을 배치해 장마철 산림재해 예방·대응 관리에 적극 대처한다는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오는 10월까지 산사태 위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전파하고 신속 대응을 위해 산사태 예방지원본부를 운영한다”면서 “산사태로 인해 인명 및 재산피해를 막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최정규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