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량제 봉투 채우지 못해 쌓아둔 쓰레기서 벌레·악취 발생
전주시 “수요 측정 어렵고 예산 많이 들어 충분한 논의 필요”
전주지역의 1인 가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1인 가구에 적합한 쓰레기 종량제 봉투가 없어 소용량 종량제 봉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특히 여름철에는 집안에 모아둔 쓰레기에서 벌레가 생기거나 악취가 나기 쉬워 이를 원하는 목소리가 더 크다.
전주시 완산구 중화산동의 한 원룸에 거주하는 A씨(28)는 최근 집에 날아다니는 날파리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원인은 원룸 베란다에 모아둔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다 채우지 못해 일주일 가량 방치해둔 쓰레기에 벌레가 생긴 것이다. 동네 마트에서 5ℓ 종량제 봉투를 구매해 쓰거나 10ℓ 재사용 종량제 봉투를 주로 사용하는 A씨는 1인 가구가 쓰기에는 5ℓ짜리 봉투도 크다고 말했다.
A씨는 “혼자 살기 때문에 가장 작은 5ℓ 봉투를 다 채우는데 적어도 2주는 걸리는 것 같다”면서 “겨울에는 그나마 괜찮은데 요즘처럼 비도 오고 날이 더운 여름에는 며칠만 지나면 벌레가 생기고 악취가 나 더 작은 종량제 봉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 원룸에 거주하는 신찬후 씨(31)도 “근처 마트에 파는 종량제 봉투가 10ℓ 밖에 없어 그것을 사용하는데 1/3도 못 채웠는데 벌레가 꼬이기 일쑤”라며 “최대한 빨리 버리기 위해 분리수거 할 쓰레기까지 종량제 봉투에 넣어서 버리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19일 오전 효자동 원룸가를 돌아본 결과 종량제 봉투에 꽁치캔이나 페트병 같은 재활용 쓰레기가 들어 있는 경우가 허다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전주시의 1인 가구는 꾸준히 증가세다. 지난해 전주시의 1인 가구는 2019년보다 약 8000가구 늘어난 89038가구로 전체 가구의 32.9%를 차지했다. 이는 전국 평균(31.7%)보다 높은 수치다.
또한 지난해 10월 전주시설관리공단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019년 10월보다 5ℓ 종량제 봉투 판매량이 27만 장에서 50만 장으로 약 2배 늘었다. 1인 가구가 늘고 코로나19로 집 안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이런 결과가 나온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렇듯 1인 가구가 늘어남에 따라 소용량 종량제 봉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전주시는 당장 소용량 종량제 봉투의 보급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전주시 관계자는 “시민들의 요구가 많아진다면 작은 용량의 종량제 봉투를 만드는 것이 어렵지 않다”면서도 “수요가 정확히 얼마나 될지 모르고, 제작하는데 예산도 적지 않게 드는 만큼 시민 의견 수렴 등 충분한 논의가 필요한 사안”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