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 오후 4시께 완주군 대둔산에서 산행을 하던 A씨(60대)가 삼선계단 인근에서 추락해 전신 다발성 찰과상, 좌측 어깨 통증 등으로 대학병원으로 이송됐다.
앞서 지난 8월 22일 완주군 천등산에서 암벽등반을 하던 B씨(50대·여성)가 암벽장에서 10m 아래로 추락해 골반골절 등을 입어 소방헬기로 구조됐다.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가을철(9~11월)에 산악사고가 많아져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20일 전북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전북에서 발생한 산악사고는 1450건이다.
지난해 기준 월별 산악사고 통계를 보면 가을이 시작하는 9월(161건)부터 점차 증가해 10월에는 201건으로 가장 많은 사고가 일어났고, 늦가을인 11월에는 145건 발생했다. 전체 1450건 중 가을에만 507건 발생해 전체의 35%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도민들이 많이 찾는 모악산과 대둔산이 있는 완주에서 249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다. 다음으로는 지리산이 있는 남원(176건), 운장산이 있는 진안(167건), 무주(162건) 순으로 발생했다.
사고 유형별로는 일반조난 346건(23.9%), 실족·추락 286건(19.7%), 개인질환 136건(9.4%)등 순으로 나타났다.
산악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산행 시 수시로 지형과 지도를 대조해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소방서에서 설치한 위치판 고유번호를 함께 확인해야 한다.
올라갈 때는 보폭을 너무 넓게 하지 말고 일정한 속도로 걷고, 내려갈 때는 자세를 낮추고 발 아래를 잘 살피며 안전하게 디뎌야 한다.
산행 중 추락으로 인한 골절이 발생했을 때는 나뭇가지나 두꺼운 종이 등을 사용해 옷가지 등으로 응급처치를 실시하고 최대한 빨리 119에 신고해 병원으로 이송해야 한다.
소방 관계자는 “안전한 산행을 위해 정해진 등산로에서만 산행을 하고, 안전수칙 준수와 산악사고를 대비한 119어플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