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지역 대로변에 위치한 일부 지하보도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있어 보행장애인과 교통약자는 물론 이곳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특히 보행장애인을 위한 시설은 찾아볼 수 없었으며, 벽과 천정에는 곰팡이와 거미줄로 가득하고 원인불명의 악취까지 시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14일 서신동 한일고등학교 앞 서신지하보도. 입구에서부터 원인불명의 악취로 눈살이 찌푸려졌다. 그렇게 내려가본 지하보도에는 천장 곳곳 거미줄과 벽면엔 시커먼 곰팡이로 가득했고 지하보도 곳곳엔 언제 버려졌는지도 모를 오래된 쓰레기들이 널려있었다. 또 푹푹 찌는 날과 퀴퀴한 곰팡이 냄새가 만나 지하보도의 내부 공기는 더욱 탁하게 느껴졌다.
같은 날 서신동 광장지하보도. 공공으로 사용되는 지하보도 안에는 단속을 피하기 위한 개인 자전거가 보관돼 있었고, 지하보도 가장자리의 나무 벤치 위에는 수북하게 쌓인 먼지와 거미줄로 시민들은 나무 벤치가 장애물인 양 이리저리 피해 가고 있었다. 또 지하보도에 조성된 빗물받이 속 가득한 이물질과 그 주변에 고여있는 물웅덩이로 이곳의 배수 처리 시설의 현황에 대해서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다.
시민 이하은 씨(25·여)는 “지하보도를 이용할 때마다 지저분하다는 생각을 한다”며 “하지만 이렇게 넓은 도로를 제일 빠르고 안전하게 건널 수 있는 방법이 이곳뿐이라 어쩔 수 없이 이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같은 날 다가동 다가지하보도 역시 입구에서부터 퀴퀴한 냄새는 기본이었다. 계단을 따라 들어가 보니 다른 지하보도 보다 적게 설치된 조명으로 음산한 분위기가 연출됐다. 또 입구와 출구에 하나씩 설치된 조명마저 거미줄과 먼지 등으로 가득 껴있어 조명의 제 역할을 하기엔 부족했다.
시민 김서윤 씨(23·여)는 “어두운 조명 탓에 낮에 지나가기도 무섭다”며 “날씨가 선선해지면 다른 신호등을 찾아갈 것 같다”고 전했다.
이날 기자가 방문한 지하보도는 덕진동 덕진지하보도까지 총 4군데로 모두 출입구가 계단으로 조성돼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어, 보행에 불편함을 겪는 보행장애인들과 교통약자들이 이용에 제약을 받아 통행이 어려워 보였다.
‘보행안전 및 편의 증진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스스로의 힘으로는 보행이 불편한 사람이 차별 없이 보행자 길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보행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고 명시돼 있지만 이날 방문해 본 지하보도에서는 교통약자를 위한 관리자의 노력은 찾아볼 수 없었다.
전주시 관계자는 "다가지하보도, 덕진지하보도는 지어진지 오래돼 장애인을 위한 시설이 부족한 점 인지하고 있다"며 "관리 개선 사업은 아직 예정이 없지만 관련 사업비용이 확보되는 대로 지하보도 관리 개선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