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개항 124년째를 맞은 군산항의 현안은 준설이다.
그만큼 토사가 많이 밀려와 쌓이는데 비해 준설은 턱없이 미미, 군산항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지난 2007년부터 2012년까지, 그리고 2013년부터 내년까지 군장항 항로준설 1·2단계의 사업을 통해 총 2000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돼 3300여만㎥의 토사가 준설되지만 토사 매몰로 인한 군산항의 고통과 신음은 여전하다.
지난 1979년 1부두 완공 이후 1989년부터 본격화돼 2012년까지 약 1조 원이 투입된 군장항 1·2단계의 개발사업으로 군산항은 31개 선석을 갖춘 도내 유일한 중견항만으로 성장을 거듭했다.
서해안 시대의 선도 항만, 환황해권 관문항, 전북지역 물류거점 등 군산항에 화려한 수식어가 따라 붙었다.
그러나 1990년 금강하구둑 완공이후 심각해진 토사매몰현상은 군산항의 성장판을 갉아 먹었다. 군산항을 번지르르 하게 포장한 수식어는 정부와 정치권이 활용하는 허울좋은 문구로 전락했다.
군산항이 국가관리 무역항인데도 정부는 부두 건설에만 주력해 왔다. 그러나 준설 의무 이행에는 소홀히 했다.
매년 준설량은 항내 매몰되는 토사량의 1/3 수준에 불과했다. 2/3의 토사량은 군산항에 그대로 매년 쌓여만 갔다. 수심은 갈수록 낮아졌다.
이에따른 부작용은 만만치 않았다.
국제 카훼리선과 컨테이너선이 운항의 생명인 정시성(定時性)을 지키는 것은 거의 힘들어졌다. 부두에 정박한 선박은 밑바닥이 뻘에 닿아 안전에 문제가 생길까봐 안절부절, 노심초사하고 있다.
도내 수출물량의 80%, 수입물량의 약 40%가 부산항과 광양항, 인천항 등 다른 항만에서 소화되고 있다. 심지어 군산항을 지닌 군산시의 수출 물동량의 60%, 수입 물동량의 약 30%도 다른 항만에서 처리되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과 마주하고 있다.
군산항은 연간 3000만톤의 하역 능력을 갖췄지만 고작 전국 항만 물동량의 2%를 처리한다. 전국에서 4번째로 개항했지만 12대 항만으로 추락했다.
부두 개장 당시 만족했던 계획 수심은 그때 뿐이다. 그 후로는 제대로 수심이 확보되지 않아 부두운영회사들의 준설 요구는 빗발치고 있다.
또한 재정이 허락하지 않으면 비관리청 준설공사라도 허가해 달라고 아우성이다. 이는 절규(絶叫)다.
이런 상황속에서 지난달 국무총리 규제혁신 추진단과 해양수산부가 항로와 정박지 유지준설 체계 개선과 관련, 대통령 소속 규제개혁위원회에 보고한 내용이 눈에 띈다.
항로와 정박지, 선석이 적절한 수심을 유지하도록 항로 등 수심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준설 필요 지역을 신속히 파악, 적기에 준설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 주요 골자다.
이는 항로 개설 때 계획수심이 확보됐지만 서해안의 특성상 일부 해역에서 계획수심이 확보되지 않아 선박 입출항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해양수산부는 적기에 준설 예산을 확보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반가운 소식이다. 군산항은 전국 항만 중 토사매몰 현상과 부작용이 가장 심각하다. 이런 특수성을 감안, 정부 차원의 특별한 유지 준설체계구축이 요구된다.
문제는 실천이다.
/안봉호 선임기자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