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북지역에서 구조된 개와 고양이 등 유실·유기동물 수가 전국에서 상위권을 차지한 것으로 집계된 가운데, 지역 동물보호시스템에 대한 관심과 경각심이 날로 커지고 있다.
그러나 도내 지자체 중 직영으로 보호소를 운영하는 지역은 5곳에 그쳐 전북에서 행정 주도적인 동물복지가 요원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9일 농림축산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구조된 유실‧유기동물 수는 총 11만3440마리였다. 이는 전년대비 4.1%감소한 수다.
구조된 동물 수는 지난 2018년 12만1100마리에서 2019년 13만5800마리로 대폭 늘었다가 2020년 이후로 지속 감소추세다.
지난해 구조동물의 지역별분포는 개의 경우 경기가 19.9%로 가장 많았고 이어 경남 12.6%, 경북과 전남이 9.9%, 전북 8% 등의 순이었다.
고양이는 경기(16.1%), 부산(10.2%), 인천과 대구(8.3%), 전북(7.4)등의 순으로 구조됐다.
전북에서는 인구가 많고 반려동물 수도 많은 전주에서 주로 많이 동물들이 구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동물복지단체들과 애호가들은 구조동물 수가 감소하고 있긴 하지만 1인가구 증가, 사회 경제적 요인 등의 이유로 언제든 그 수가 늘어날 수 있고 이에 동물병원 위탁 보호보다는 지자체가 직접 운영하고 관리하는 형태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전북에서 동물보호소를 직영으로 운영하는 지자체는 정읍과 완주, 진안, 무주, 순창 5곳 뿐이다.
나머지 9개 지역은 지자체 관내 동물병원들에 하루 위탁수수료 9000원을 주고 위탁 보호소형태로 운영 중이다.
전주의 경우 대부분의 구조동물의 수를 차지함에도 10곳의 동물병원에서 분산 수용하고 있었는데, 올해 들어서는 1곳이 업무과다와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위탁을 포기하면서 9곳으로 줄어 들은 상태이다.
전주시는 지난 2019년 동물보호소 건립 사업으로 국비 20억원을 확보했는데도 부지선정과 매년 15억원 이상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운영비 등의 이유로 직영보호소 설립을 포기했고, 국비까지 반납했다.
그러나 반려동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날로 커지고 있는 것에 비해 여전히 동물복지에 대한 행정 의지가 여전히 부족해 직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시 관계자는“동물보호소의 경우 부지선정과정부터 운영까지 민원이 끊이질 않는 등 행정이 추진하기에 부담이 많이 갈 수밖에 없다”며 “현재로선 위탁보호 형태를 유지하는 것외에는 딱히 다른 대안이 없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