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난해 11월 전주시 인후동 한 아파트에 입주한 오모 씨(33)는 퇴근 후 차량을 주차할 곳을 찾아 단지 밖 골목길을 돌기 일쑤다. 아파트 입구에 부착된 '외부차량 절대 주차금지' 문구의 현수막이 무색하게 인근 상가와 원룸촌 등 외부 차량이 아파트 내부에 주차하기 시작하면서 입주민들과의 '주차전쟁'이 벌어진 탓이다.
오 씨는 "늦은 시각에 돌아오면 주차공간이 없어 과태료를 걱정하며 갓길에 주차하곤 한다"며 "요즘 집집마다 차량 두 대는 기본이고 외부 차량까지 밀려들어와 갈수록 주차문제가 심각해지는 것 같다"고 한탄했다.
#2. 전주시 호성동의 한 아파트 단지 입주민들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해당 아파트는 한 세대당 주차 대수가 1.6대로 상당한 규모의 지하주차장이 마련돼 있지만, 주차 관제 시스템이 없어 외부인 주차가 허용된 데다 입주민 주차 대수 제한조차 없어 주차 시비로 인한 폭언과 차량 경적 소리가 일상이 됐다.
매년 급증하는 자동차 등록대수에 비해 주차공간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대중교통이나 친환경 이동수단 활성화를 통해 자연스럽게 차량 증가를 막고 감소시키는 행정차원의 근본적 고민이 요구되고 있다.
5일 전주시에 따르면 최근 3년 간(2021∼2023) 전주시내 승용차 등록대수는 2021년 28만여 대에서 2022년 29만여 대, 2023년 30만여 대로 1993년에 10만여 대였던 점을 감안하면 매년 3%이상 증가추세다.
이미 포화상태가 된 전주 아파트나 주택가에서는 주차전쟁이 벌어지고 있는데, 이 문제를 일부 해소할 공영주차장은 차량 증가세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전주시내 공영주차장은 지난 2021년 195곳 8426면에서 올해 209곳 8507건으로 0.9%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에 전주에서 주차문제로 인한 민원도 매년 15만 여 건이 넘게 접수되는 등 주차관련 문제가 매년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주차난 해결을 위해 공영주차장을 무작정 늘릴 수도 없다. 시 관계자에 따르면 주차장 1면을 조성하는데 토지매입 등을 추산하면 5000만 원이 소요되는 만큼 천문학적인 예산이 투입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차량 대수에 맞춰 공영주차장을 조성하기 보단 지자체가 도로 환경을 개선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토록 유도하는 등 도심의 차량 수를 관리하는 동시에 기존 주차장 인프라를 효과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실제 프랑스의 경우 지난 2020년 수도 파리의 공영주차장 6만개를 없애고 해당 부지를 자전거 도로와 보도 및 식수공간으로 활용해 시민들이 걷거나 자전거, 대중교통을 이용하도록 유도, 차량수를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춘 정책을 시행 중이다.
도로교통연구원 관계자는 "개인이나 아파트 단지 주차면적은 이미 포화상태이고 지자체가 확보하는 공영주차장 면적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천정부지로 치솟는 차량대수를 관리하는 것이 주차난 해소에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분석된다"며 "이와 함께 대형 주차장을 갖춘 아파트 단지나 교회, 학교 현황을 면밀히 파악해 민간에 개방하는 정책을 적극 시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