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북문경 화재현장에서 소방관 2명이 숨지는 등 도내를 비롯 전국적으로 젊은 소방관들의 순직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제대로된 훈련시설이 없어 이들을 사지로 내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화재 현장에서 생존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고도의 훈련시설과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데, 전북은 그동안 실화재 훈련장이 없다가 뒤늦게 나마 축소된 채 건립이 추진 중이기 때문이고, 이에 훈련장 규모 확대와 건립에 속도를 내야한다는 목소리다.
4일 전북자치도소방본부에 따르면 전북소방은 올해 1월 장수군 계남면 호덕리 소방안전타운 부지 내 전북지역 실화재훈련장 건립 사업을 예산 40억원(국비와 도비 각 13억6000만원, 소방교부세 12억5000만원)을 투입, 2025년 6월 완공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전북실화재훈련장은 2023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었으나, 예산과 부지 확보 등의 문제로 터덕이던 상태에서 올해 1월부터 예산 투입과 함께 본격적인 추진이 이뤄지고 있다.
그동안 전북지역 소방관들은 일선에 배치된후 1년에 한번도 실화재 훈련을 받지 못했다. 이번 건립으로 훈련부족문제는 다소 해결될 수 있을 전망이다.
하지만 현재 추진과정에서 일부 시설에 대한 예산 삭감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져 예산 추가 확보 등을 통한 훈련시설확대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부족한 시설로 인해 표준적인 훈련장 외에는 추진이 사실상 불가능하고 시설 축소 우려가 나오고 있어서다.
도 소방본부 관계자는 “현재 실화재훈련장에 대한 예산을 배정 받아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상태이다”며 “사업 추진과정에서 부대시설 등에 대한 예산이 삭감됐고, 현재 정부 기조 자체가 모든 예산을 삭감하는 분위기여서 추진하는 데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실화재훈련장은 실제 화재현장과 비슷한 환경을 구성해 △폭발·순간 연소 등 위험이 상존하는 화재 현상 확인 △화재현장의 내부 위험상황 대처법 등의 훈련이 진행된다.
이 같은 훈련은 재난 상황에서 소방관들의 위기 대처 능력을 키워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할 확률을 줄일 수 있지만, 현재 전국에 8곳에 불과한 상태로, 전북을 포함한 19개 소방본부 중 11개의 지역에 실화재훈련장이 설치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소방관들의 안타까운 죽음은 끓이질 않고 있다.
소방청 등에 따르면 지난 2011년부터 위험직무순직(화재)로 인해 순직한 소방관은 총 17명으로 파악됐다. 순직자의 대부분이 소방사(9급), 소방교(8급) 등 하위 직급으로 화재 현장에서 경험이 베테랑에 비해 비교적 떨어질 수 있는 직급에서 발생했다.
이에 하루속히 소방관들의 꾸준한 훈련을 통해 위험상황에 대한 대처방식을 익히고 사고 발생 확률을 줄여야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도소방본부 소속 한 소방관은 “한 때 소방학교에서 한꺼번에 많은 인력이 뽑혀 실화재훈련 횟수가 예년보다 줄어든 상태에서 소방관을 교육했다”면서 “화재 현장은 어떤 위험이 발생할지 모르기 때문에 훈련으로 모든 사고를 막을 수는 없지만, 꾸준한 훈련을 통해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을 줄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실제 사고당시를 재연한 훈련을 통해 소방관들의 생명을 지켜야 한다고 제언한다.
우석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공하성 교수는 “소방관들의 모집을 확대하면서 관련 시설들은 확충되지 않아 소방관들의 훈련 횟수 자체가 줄어들었다”며 “실제 이번 사고 현장과 비슷한 환경을 갖춘뒤 소방관들에게 유사한 훈련을 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현재 2년에 한번정도 정해진 훈련횟수와 훈련방식의 다각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