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오피니언

완주 전주 통합은 정치가 아닌 생존의 문제

정치인 운명보다 먹고 사는데 관심
주민들 의식변화 투표율 여부 관건
전북의 미래 발전 관점서 판단하길

image

완주 전주 통합 문제가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3차례 시도가 실패로 끝나고 11년 만에 4번째 도전에 나선 가운데 중대한 갈림길에 놓였다. 완주 군민의 찬반 투표를 이끌어내기 위한 주민 서명부가 제출되면서 공식 절차에 들어갔다. 결과에 따라서는 다시 한번 찬반 논란에 휩싸일 전망이다. 이와 관련 완주군의회는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면서도 일련의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이 통합 문제가 2년 뒤 지방선거 판도와도 깊숙이 관련돼 있다는 점이다. 대상 지역 자치단체장과 지방의원은 자신의 정치적 명운이 걸린 문제라 예민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하필이면 그 곳이 전북의 중심지인 완주와 전주 지역이란 점에서 도지사 선거와도 무관하다고 볼 수 없어 도민들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번에 제출된 서명부는 주민투표 청구요건의 3배가 넘는 6천152명이 참여해 통합에 대한 열망을 읽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일단 주사위는 던져졌고 빠르면 연말께 투표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결코 만만치 않은 관문을 통과해야 하는 통합 여정의 첫 걸음을 뗀 셈이다. 완주군과 전주시도 그동안 우호적 환경 조성을 위해 상생 협약의 민생 현안 해결에 주력해 왔다. 이와 병행해 통합에 찬물을 끼얹는 악성 루머 차단에도 다각도로 고민하고 있다. "통합이 되면 오히려 완주 군민만 불이익을 받는다" 는 뿌리 깊은 불신과 피해 의식을 부추기는 움직임에 쐐기를 박기 위한 일환이다. 전례에 비추어 보면 오랜 세월이 지나 주민 의식에도 변화 조짐이 뚜렷하고, 전국 메가시티 열풍을 타고 타시도 움직임이 활발한 데 적지 않은 영향을 받는 것 같다. 그러나 주민투표가 결국 숫자놀음이라 저출산 인구 절벽에도 완주 인구가 꾸준히 늘어난 점이 어떤 변수로 작용할지 주목받는 상황이다. 

이 문제에 접근하는 정치권 입장도 제각각이다. 최근 들어 통합에 목소리를 높이며 존재감을 보이는 이가 정동영 의원이다. 그는 이 틈을 타고 몸값을 올려 향후 정치적 자산으로 활용하려는 속셈이다. 사실상 통합의 당사자나 진배없는 우범기 전주시장과 유희태 완주군수는 서로 상대를 자극할까봐 말을 아끼고 있다. 찬반이 엇갈리는 입장에서 그들은 수위조절을 통해 동상이몽을 꿈꾸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공약으로 내건 김관영 지사도 지역 발전 큰 그림에서 이 문제 해결이 불가피하다는 판단아래 양측 입장의 조율사로 나선 지 오래됐다. 문제는 3차레 시도를 무산시키는데 앞장섰던 완주 지역 정치권의 입장이다. 의회는 이미 반대 입장을 공언한 상황에서 이 지역 헤게모니를 쥐고 있는 안호영 의원이 이렇다 할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 정치적 이해관계가 극명하게 갈리는 사안이기에 그로서도 셈법이 복잡한 방정식을 어떻게 풀어낼지 골몰하는 모양새다. 

정치인의 향후 거취와 연관되긴 하지만 그렇다고 완주 전주 통합은 결코 정치 문제가 아니다. 지역 사회 초미 관심사로 전북 미래 발전에 변수로 작용할 만큼 도민 이익과 직결된 사안이다. 그 정도로 중차대한 의미를 갖다 보니 주민 의견 수렴 과정도 여과없이 전개돼야 할 것이다. 과거 처럼 악의적 여론전을 펼쳐 민심 왜곡을 부추기거나 실력 행사를 통해 분위기를 몰아가는 움직임은 통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통합으로 인해 바뀌는 지형에 따라 유불리가 결정되는 정치인들의 이기적 성향은 별 도리가 없다. 그러면 그들로 하여금 되돌아 볼 기회를 주고 싶다. 자신들의 삶의 터전이나 다름없는 완주 지역 발전의 성공 모델은 무엇인지, 자식 손주들이 고향에 정착하며 먹고 살 수 있을 정도로 정주 여건은 갖춰 있는지에 대해서다. 지금 우리와 미래 세대를 위한 생존 차원의 문제가 바로 완주 전주 통합이다.

김영곤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경제일반전주상의

경제일반홈플러스 노조, 철야농성 재개…"지금이 골든타임"

경제일반전세사기 피해자 누적 3만4천481명…인정비율 63.7%

정치일반'역대급' SKT 개인정보 유출에도 30만원…배상 기준 논란

사회최근 5년간 서해해경 관내 밀입국 40명…군산해경, 밀입국 대응 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