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행자 안전을 위해 설치한 말뚝이 규정에 맞지 않는 재질로 인해 보행자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어 교체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볼라드라고도 불리는 차량 진입 억제용 말뚝은 차량의 인도 침범과 인도 위 불법 주정차를 막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최근 주차 공간 부족 등으로 인한 차량의 인도 침범 사례가 잦아지자 이에 대응하기 위해 볼라드를 적극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15일 전주시 덕진구의 한 보행로. 새로 설치된 볼라드들은 대부분 우레탄 재질의 커버가 씌워져 있었다.
그러나 그 사이 남아있는 화강암 재질 볼라드를 다수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중 점자블록이 아예 설치되지 않은 화강암 볼라드도 여럿 발견할 수 있었다.
시민들은 지나치게 단단한 화강암 볼라드로 인해 부상을 입은 적이 있다고 호소했다.
덕진구에 거주하는 최모 씨(29)는 “화강암 볼라드에 정강이를 부딪쳐 피가 날 정도로 다친 적이 있다”며 “기존 화강암 볼라드도 요즘 설치되는 우레탄 재질의 볼라드로 교체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특히 시각장애인들은 화강암 볼라드로 인해 큰 사고를 당할 뻔했다고 토로했다.
노창옥 전주시각장애인협회장은 “전북대나 신시가지 인근을 지나다가 화강암 볼라드 때문에 큰 사고를 당할 뻔한 게 한두 번이 아니다”며 “규정에는 볼라드 설치 시 점자 블록을 통해 알려주게 되어 있지만 설치되지 않은 곳도 많아 화강암 볼라드가 더욱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주변에 볼라드로 인해 다쳤다는 시각장애인들이 많아 화강암 볼라드를 교체해 줬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는 기존 화강암 볼라드 전면 교체의 필요성을 제언했다.
심재익 한국교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볼라드 설치 시 사람이 부딪혔을 때 상처를 입지 않는 정도의 탄성을 유지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다“며 ”화강암 볼라드는 이 규정을 지키기도 어렵고 야간 보행자와 시각장애인들에게 위협을 줄 수 있어 전면 교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전주시 관계자는 추가 볼라드 설치로 인한 예산과 인력의 부족을 호소했다.
전주시 관계자는 “최근 볼라드를 새로 설치해 달라고 요청하는 곳도 많고, 관련 인력과 예산은 한정되어 있다 보니 기존에 설치된 화강암 볼라드를 전면 교체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며 “통행 불편 관련 민원이 들어오는 화강암 볼라드에 대해서는 교체를 검토해 보겠다”고 답변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