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 보관하지 못하는 생화는 말려서 팔기도 해
전기세, 난방비 오르고 계엄령까지 겹치며 울상
연말 성수기를 맞이한 화훼업계가 계엄령으로 인한 혼란과 고물가로 인해 울상을 짓고 있다.
지난 24일 만난 꽃 도매상은 매출이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꽃 도매상 관계자 A씨는 “생화는 오래 보관하기도 어려워 일주일 정도 안팔리면 버려야 하는데 계속 손해가 쌓이는 상황”이라며 “그나마 말려서 판매할 수 있는 생화들은 말려서라도 팔지만, 그 이외 생화들은 그냥 오래 두면 팔지 못하고 버려야 하니까 생화 재고 자체를 줄이고 있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꽃집들도 난방비와 전기세 부담이 커져 꽃 주문과 물량 자체를 줄이고 있다”며 “원래 같으면 지금이 가장 잘 팔려야 하는 성수기인데, 계엄령 이후 행사와 시상식도 많이 취소되고 소비 심리도 위축되면서 매출이 작년과 비교해 3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실제 화훼유통정보에 따르면 광주원예농협의 12월 절화 유통량은 전년 대비 6.75% 감소했으나, 경매 금액은 3.3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12월 셋째주 기준 평소 거래량이 많은 품종인 국화는 3000속, 장미는 4000속 가까이 거래량이 줄어들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날 오후 7시께 찾은 전주시 덕진구의 한 꽃집. 성탄절을 맞아 매장 안은 트리와 장식으로 꾸며져 있었다. 추위에 식물들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히터와 습도 장치도 계속해서 작동되고 있었다. 그러나 성탄전야 저녁임에도 불구하고 매장 내부 손님은 몇 없는 상황이었다. 화환 등을 제작하거나 배송 준비하는 모습도 확인할 수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 덕진구에서 꽃집을 운영하는 B씨는 “코로나 등 최근 몇 년 업계 상황이 좋다고 말하기는 어려운 상황이었는데, 올해는 유독 심한 것 같다”며 “그래도 원래 이 시기는 행사가 많은 편이라 정신없이 꽃 주문이 들어와 바빴는데 올해는 계엄령 이후 행사도 많이 사라져 그마저도 기대하기 어렵다”고 한탄했다. 이어 "전기세와 난방비가 오르고 물가도 크게 높아지면서 꽃값이 많이 오른 상황인데 부담을 느끼는 손님들도 있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완산구에서 꽃집을 운영하는 C씨는 ”우리 매장은 오래 운영한 편이라 그나마 괜찮은 편이지만, 주변 꽃집들은 요즘 많이 힘들다고 이야기하는 것을 듣기는 했다“고 말했다.
이전보다 오른 꽃 가격에 당황하는 손님도 있었다.
전주시 덕진구에서 만난 김모씨(27)는 “제가 기억하는 것 보다 꽃 가격이 많이 오른 것 같아 당황스럽다”며 “부모님께 드릴 선물로 꽃을 구매하기는 했으나 마음 편히 구매하지는 못했다”고 말했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지난 16일 탄핵 정국이 자영업자들에게 악영향이 가지 않도록 연말 지역 축제와 행사 등을 예정대로 추진할 것을 각 지자체에 요청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