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코트 운영 중단, 벤치와 펜스 등 노후 지적
생태동물원 조상사업 이후 매년 예산 줄어들어
동물원 "편의시설 정비 필요, 추경 반영 요청"
"누가 (관람객들에게) 지저분한 모습을 보여주고 싶겠어요. 저희도 깔끔한 모습을 보여주고 싶은데 예산이 없어서⋯." (전주동물원 관계자)
전주의 대표 관광지인 전주동물원이 예산 부족으로 편의시설 정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주동물원의 한 해 예산은 생태동물원 조성사업이 완료된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최근 5년간 전주동물원의 예산을 살펴보면 2021년 81억 4300만 원에서 2022년 37억 9800만 원, 2023년 26억 8300만 원, 2024년 23억 6600만 원, 2025년 17억 7800만 원까지 줄어들었다. 2021년과 2022년은 생태동물원 조성사업으로 인해 예산 투입이 많은 시기였다. 이를 감안하더라도 예산 감소세는 뚜렷하다.
생태동물원 조성사업(2015∼2022년) 이전과 비교해도 전주동물원 예산은 턱없이 적다. 실제로 전주동물원 예산은 2013년 33억 8700만 원, 2014년 38억 2200만 원 수준이었다.
문제는 예산이 모자라 관람객 편의시설 정비가 제때 이뤄지지 못한다는 데 있다.
일례로 전주동물원 내 푸드코트는 예산 부족으로 누수 문제 등을 해결하지 못해 새로운 운영자를 구하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화장실은 동파로 이용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동물원 펜스와 가로등, 벤치 노후 문제도 지적된다. 관람객 펜스와 가로등은 녹슬어 미관을 해친다. 벤치는 썩어서 교체 또는 보수가 필요한 상태다.
이에 대해 전주동물원 관계자는 "식당 보수가 안돼 운영자 모집 공고를 내지 못하고 있다. 화장실도 리모델링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펜스와 가로등, 벤치 등은 관람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이기 때문에 정비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예산을 요구했지만 시 재정 여건이 어려워 반영이 안 된 부분들"이라며 "올해 추경에 3억 9000만 원 반영을 요청할 계획이다. 추경 반영이 이뤄지면 편의시설 정비에 즉각 나서겠다"고 덧붙였다.
이 밖에 코끼리 사육장도 올해 하반기 코끼리 입식을 앞두고 시설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코끼리 사육장을 준공하고 첫 겨울을 보내며 발견한 난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다.
전주동물원 관계자는 "이번 겨울에 난방을 해보니 사육사들이 요구하는 코끼리 내실 온도보다 낮게 나왔다"며 "올해 하반기 코끼리 두 마리가 새로 들어오는 만큼 추경을 세워 겨울이 되기 전 난방시설을 보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 1978년 개원한 전주동물원은 지방 소재 동물원 중 가장 오래된 시설이다. 그 규모도 전국적으로 손꼽힌다. 전주시는 2015∼2022년 동물복지를 고려해 사육 환경을 개선하는 생태동물원 조성사업을 추진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