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은 삼수 만에 올림픽을 개최했어요. 우리도 충분히 싸워볼 만합니다. 전북 도민이 한마음 한뜻으로 힘을 모아준다면 2036년 올림픽을 유치할 수 있습니다."
15일 전북일보사 2층 우석대 공자아카데미 중국문화관 화하관에서 열린 리더스아카데미 제12기 1학기 4강에서는 유인탁 전 선수촌장이 '정상을 향한 열정과 도전'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1970년대 당시 김제군 공덕면 황산리 방앗간 집 아들이었던 1984년 LA 올림픽 레슬링 금메달리스트인 유인탁 전 선수촌장은 자신의 선수 시절부터 올림픽 금메달을 따기까지의 과정, 2036년 올림픽 유치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줬다.
유 전 선수촌장이 레슬링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의외였다. 농고 축산과에 입학한 그는 원래 아버지의 권유로 소와 돼지를 키우는 축산업에 종사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농고에서 뛰어난 힘과 운동 신경을 보여준 그는 우연히 레슬링을 접하게 됐다. 결정적으로 레슬링에 뛰어든 이유는 외국을 갈 수 있다는 점이었다. "일주일에 한 번씩 전교생을 모아놓고 교장 선생이 앞에서 상장을 주는 거예요. 일본을 갔다 왔는데 한일 교환 경기에서 1등을 했다. 그러면 또 상장을 주는 거예요. 레슬링을 하면 외국도 갈 수 있구나 그래서 시작했어요."
그의 성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은 부안 출신의 '빠떼루 아저씨'로 널리 알려진 김영준 전 경기대 교수이자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의 레슬링 해설가였다. 유 전 선수촌장은 "사람은 태어나서 누구를 만나면서 인간관계가 형성되면서 살아가잖아요. 근데 저는 그분을 만났기 때문에 금메달을 땄다고 확실하게 말씀드릴 수 있어요."
유 전 선수촌장은 전북의 2036년 하계 올림픽 유치 가능성도 강조했다. 그는 "지역 연대와 흑자 올림픽 등 기존 시설을 활용하라는 것이 IOC의 아젠다"라며 "우리는 광주의 수영장과 양궁장, 대구의 육상 경기장, 무주 태권도원, 장수의 승마장 등을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036년 올림픽 본선 경쟁국으로는 인구가 가장 많은 인도를 가장 강력한 경쟁자로 꼽았다. 하지만 단점도 지적했다. "인도는 82년 뉴델리 아시안게임을 치른 이후에 멀티 스포츠 대회를 치러본 일이 없다. 인프라도 없고, 부익부 빈익빈, 디지털 약소국이다"고 꼬집었다.
그는 성공적인 올림픽 유치를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우리는 지금 이제 대통령이 정해져야 합니다. 대한체육회가 IOC에 가서 100번 떠들어봤자 안 돼요. 대통령이 가야 됩니다. 사절단과 경제인들을 데리고 가서 '우리 이렇게 투자하고 어떻게 올림픽 치르겠다' 도와달라고 해야 합니다."
끝으로 유 전 선수촌장은 "도민들의 마음을 모아 전폭적으로 올림픽 유치를 지지해 주시면 저희 같은 사람이 일할 때 큰 힘이 날 것 같다"고 힘주어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