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여름에도 모기와의 전쟁이 시작됐다.
전북 지역 모기 개체수가 지난해 대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 시급한 방역조치가 요구된다.
22일 전북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이 최근 진행 중인 일본뇌염 유행예측조사 사업에 따르면 올해 6월 3주차 도내에 위치한 연구장소에서 발견된 모기 개체 수는 437마리로 지난해 같은 기간 312마리에 비해 약 30%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6월 2주 차와 1주 차도 지난해 대비 각각 56마리, 55마리 증가했다.
모기가 급증한 이유로는 올해 평년보다 고온다습한 날씨가 이어진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전주기상지청이 발표한 ‘전북특별자치도 여름철 기상전망 해설서’에 따르면 올 여름에는 열대 서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봄철 동안 평년보다 높은 상태가 지속됐고, 이에 고온다습한 기류가 유입됐다.
모기는 뇌염, 뎅기열 등 각종 전염병을 유발한다.
실제 지난 14일 태국 여행을 다녀온 A씨(20대·여)는 여행 이후 발열 등 이상증세를 보였고, 이후 검체검사 과정에서 뎅기바이러스 양성반응이 확인됐다. 뎅기열은 제3급 법정감염병으로 뎅기바이러스를 보유한 모기에 물렸을 때 감염되며, 주로 이집트숲모기나 흰줄숲모기에 의해 전파된다고 알려졌다.
모기 활동이 활발한 4월부터 10월까지는 △일몰 직후부터 일출 직전까지 야간 외출 자제 △야외 활동 시 밝고 넉넉한 옷 착용 △모기 기피제 사용 △향수·화장품 등 강한 향기 사용 자제 △실내 방충망 정비 및 모기장 사용 △주변 고인 물 제거 등 예방수칙 준수 등이 당부된다.
전북도 관계자는 “모기의 동향을 파악한 결과 크게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며 “일본뇌염 모기가 유행하는 것에 대한 주의보와 경보 등 단계에 맞춰 도민들에게 홍보활동을 강화하고, 예방접종을 홍보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5월에서 10월 개체수가 증가하는 만큼 취약지역 중심으로 방역소독을 하는 등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덧붙였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