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전북대 명물 ‘새끼오리’ 의문사?…오리 가족에게 무슨 일이

전북대 명물 흰뺨검둥오리 가족…새끼 잇단 폐사 '의문'
오리 가족 매년 전북대 찾지만, 둥지 튼 것은 올해가 처음
"야생 철새인 흰뺨검둥오리, 정확한 폐사 요인 규명 어려워"

image
익명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에 올라온 폐사한 새끼 오리 사진. 에브리타임 캡처

'전북대 명물'로 꼽히는 흰뺨검둥오리 새끼가 잇따라 폐사해 학생과 교직원들의 안타까움을 사고 있다.

지난 3일 대학교 익명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에는 ‘박물관 앞 오리의 비극’이라는 글과 함께 죽은 오리 사진이 올라왔다.

글쓴이는 “전북대 박물관 앞 인공 연못에 빠진 아기 오리들이 굶주림과 탈진으로 죽어가고 있다”며 구조를 요청했다.

24일 전북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죽은 오리는 지난달 말 전북대 박물관 앞 인공 연못에 둥지를 튼 흰뺨검둥오리 부부가 낳은 새끼로 알려졌다. 이들이 낳은 새끼 오리는 처음엔 10여 마리였으나 현재는 3마리만 남은 것으로 확인됐다.

박물관 관계자는 “매년 이맘때면 오리가 전북대를 찾아오지만 새끼가 죽어 신고까지 접수된 상황은 올해가 처음이다"며 "신고 후 죽은 새끼 몇 마리를 수거했다”고 밝혔다.

image
전북대 박물관 앞 인공 연못 조형물에서 휴식을 취하는 오리 가족. 새끼 오리가 두 번째 돌담 사이 웅덩이에서 물을 마시고 있다. 문채연 기자

지난 23일 찾은 전북대 박물관 앞.

인공 연못엔 흰뺨검둥오리 성체 2마리와 새끼 3마리가 조형물 위에서 휴식 중이었다. 오리를 보기 위해 학생과 교직원, 유학생 등 연못을 찾는 이들도 많았다.

재학생 유은빈(22) 씨는 “처음엔 10마리가 넘었는데 어느 순간 새끼 수가 줄더니 이제 3마리만 남았다”며 “많은 사람들이 오리 가족을 보기 위해 이곳을 찾는데, 새끼가 계속 죽어 안타깝다”고 전했다.

해당 연못을 자주 오간다는 교직원 A씨는 “부모가 아닌 다른 성체 오리가 새끼를 공격했다는 얘기도 있다”며 “학교의 상징인 만큼 왜 죽었는지 알고싶다”고 말했다.

하지만 전문가는 정확한 폐사 원인을 특정하기 어렵다고 봤다.

장형관 전북대 수의학과 교수는 “흰뺨검둥오리는 야생 철새로 자연 폐사 요인이 많아 정확한 사망 원인을 단정하기 어렵다"면서 “다만 이 종은 물가에 살기 때문에 익사 가능성이 적고, 공격성도 약해 성체 간 영역 다툼에 의한 폐사 가능성도 적다. 오히려 도심 속 고양이가 새끼를 장난삼아 해쳤을 수도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장 교수는 “인근 덕진공원에 비해 열악한 환경임에도 이곳(박물관)을 택한 건 공원을 더 위험하다고 판단했을 가능성이 크다”며 “최근 덕진공원에 오리의 알을 좋아하는 수달이나 쥐, 뱀 등 천적이 늘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전주시는 지난달 초 덕진공원에서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인 수달이 관찰됐다고 밝힌 바 있다. 수달 4마리가 덕진공원 수변구역에서 사냥하거나 이동하는 모습이 자주 포착됐다.

장 교수는 "사실 야생에서 살아남기 취약한 새끼들은 다양한 이유로 다수 폐사한다. 아무래도 사람들이 자주 오가는 장소에 둥지를 틀어 그 모습이 자주 포착돼 화제된 것 같다"며 “이와 별개로 흰뺨검둥오리는 조류 인플루엔자(AI)를 옮기는 대표 철새 중 하나이기 때문에 폐사 개체를 발견하면 동물위생시험소나 야생동물센터 등에 즉시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문채연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