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강릉이 가뭄으로 인한 식수원 부족으로 '재난사태'가 선포된 가운데, 전북 지역 또한 식수원 문제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과거 전북도 가뭄으로 주요 식수원들의 저수율이 강릉과 비슷한 수준을 보인 적이 있다. 또 도내 대부분 지역이 용담댐 한 곳에 식수원을 의존하는 '단일 수원 의존 구조'가 장기적 위험요소로 지목되고 있기 때문이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오후 7시께 강릉지역에 '재난사태'를 선포했다. 강릉의 주요 식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5% 이하로 떨어진 데 따른 조치다.
강릉은 현재 주민들을 대상으로 수도계량기를 75%까지 잠그는 제한급수 2단계 등을 명령하고 식수원 공급책을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문제는 전북 지역에도 가뭄 위험이 빈번하다는 점이다.
전북도 등에 따르면 지난 2022년 섬진강댐은 저수율 18.9%를 기록했다. 섬진강댐은 임실·순창·남원 등 전북 동남권 지역의 식수원을 담당한다. 식수원들은 15% 이하로 저수율이 떨어질 시 행정안전부의 판단에 따라 재난사태가 선포되며, 강릉과 비슷한 식수원 공급책이 추진된다.
또 전주·익산·군산·정읍·김제시와 완주·진안군 등은 용담댐을 대부분의 식수원으로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용담댐 또한 지난 2015년 저수량이 예년 대비 40% 수준으로 내려감에 따라 가뭄 '주의' 단계가 발령된 사례가 있다.
용담댐의 저수율은 지난달 31일 기준 67.7%의 저수량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이상기후가 이어짐에 따라 ‘물그릇’에 대한 사전 대비가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의 지적이다.
댐 전문가 정상만 한국재난안전기술원 원장(공주대 스마트인프라공학과 명예교수)은 “미국 같은 경우에는 가뭄에 대비해 1·2·3단계에 걸쳐 대책을 마련하지만, 우리나라는 그러한 정책이 전혀 없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가뭄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인 ‘물그릇’을 늘려놔야 한다”며 “가뭄은 비가 적게 오기 시작하면 예측이 가능한 것인데, 아직도 기우제를 지내는 등 비과학적인 접근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인구밀도가 높기 때문에 언제든 가뭄의 위험이 올 수 있다"며 "전국의 모든 지자체가 가뭄에 대해 대비를 해야 할 시기이다”고 제언했다.
전북도 관계자는 “일단 도내에는 내년까지는 가뭄의 위기는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과거에는 전주도 단수 조치를 많이 했지만, 용담댐을 건설하고 나서는 이러한 문제가 많이 해결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수요조사를 통해 위도 등 여전히 물이 부족한 지역이 있어 지하수 저류댐 등을 2030년까지 설치할 예정이다”면서도 “급수 취약지역들이 있지만, 예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순차적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