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자·출연자·제작자 모두 어르신들…"타시도 연계 전국 뉴스 진행 목표"
"복지관의 작은 방송국으로 시작하지만 모두 노력해서 전국권 뉴스까지 전할 수 있는 탄탄한 실버인터넷방송국으로 만드는게 꿈이에요."
전국 최초의 실버인터넷방송국(Internet Broadcasting of Seniors·이하 IBS) 개국식이 열린 17일 오전 10시 전주양지노인복지관에서 만난 김진희 팀장(28)이 당찬 포부를 전했다.
지난 9월부터 IBS의 개국까지 '젊은 선장'이었던 김 팀장은 '실버세대를 위한 실버 방송'을 목표로 노인들을 이끌었다. 그리고 문을 연 이날, '세대 공감을 이끌어냈다'는 좋은 평을 받았다.
"올해 3월 기획을 시작하면서 모두 2차례의 교육을 수료하신 12명의 어르신들이 직접 제작·편집·진행까지 참여하고 계세요. 노인의, 노인에 의한, 노인을 위한 방송을 만들기 위한 새로운 시도라고 볼 수 있죠. 참가자 중에는 30여년을 방송사에서 근무하신 분도 있어요. 아나운서·프로듀서·작가 등으로 일했거나 사진과 방송 분야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 함께 하고 계십니다."
IBS는 케이블방송의 '실버TV'를 벤치마킹(benchmarking)했다. 하지만 IBS만의 특색을 갖지 못하면 '실버TV'나 기존의 인터넷 방송과 다를 것이 없다는 생각에 고민이 많았다. 청년층의 제작자들이 바라보는 노인의 삶에는 분명 '넘지 못할'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노인의 시각으로 바라본 노인의 생각을 노인들이 담아낼 수 있다는데 가장 큰 의미가 있죠. 소소한 일상을 다큐형식에 담기도 하고 시사대담이나 뉴스까지 제작할 계획이에요. 지금은 한 회분의 뉴스 촬영하기도 버겁지만 점차 프로그램도 늘려가면서 리포터나 작가 등의 전문 인력도 보충할 생각이에요. 모두 진지하지만 즐겁게 임하셔서 아직까진 저도 즐기면서 일하고 있어요."
다만 아직 장비나 진행이 익숙지 않은 만큼 제작 속도는 떨어지는 편. 지속적인 교육을 위해 시간을 벌어야 하는 탓에 당분간은 한 달에 한 번 정도만 방송할 예정이다.
IBS의 운영을 맡은 그에게는 첫 걸음이라는 말이 무색할 만큼 뚜렷한 미래상을 갖고 있었다.
"익숙해지면 프로그램도, 방송 횟수도 점차 늘려아죠. 내년까지는 도내에서 복지관과 연계된 곳은 어디든 어르신들이 만든 프로그램을 공급할 거에요. 네트워크를 구성해 전국 각지에서 생산하는 어르신들의 뉴스도 공유하면서 풍성한 정보가 담긴 방송으로 만들어 가고 싶습니다."
첫 방송은 새해 첫 달, 첫 날에 홈페이지(http://www.hopeyj.com)에서 문을 연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