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NIE] 학생의견 - 4대강 녹색경제시각으로 접근

성경훈(동암고 2학년)

 

최근 세계는 여러 기후 문제들, 한정된 자원 수급 문제 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이에 세계는 성장을 멈추지 않되, 그 성장을 지속적으로 이어 나갈 수 있는 방안으로 '그린 이코노미', 즉 녹색 경제를 주목한다. 이명박 정부도 4대강 살리기를 들고 나왔다. 하지만 이런 사업이 그 효과들을 거두기는 어렵다고 본다.

 

먼저 그린 뉴딜이라는 일자리 창출 효과에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정부는 4대강 사업을 통해 막대한 일자리 창출을 통한 실업 문제 해결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그 일자리들이 어떤 분야의 일자리인지 살펴보아야 한다. 4대강 살리기 사업을 통해 창출되는 일자리는 대략 96만개로 추정된다. 하지만 그 중 97%는 건설분야의 단순 노무직이고, 임금 수준과 고용기간을 제시하고 있는 일자리는 24%에 불과하다고 한다. 이는 만약 이 사업에 채용되었던 노동자들이 다시 사회로 나간다면 결국 실업의 길로 접어들 수 밖에 없음을 시사한다. 아무런 직업교육도 받지 못한 그들에게는 '취업'이라는 거대한 장벽을 뛰어넘을 수 있을 만한 장대가 없다. 또 그동안 여러번 문제화 되었고 정부가 해결하려 노력했던 비정규직 문제가 오히려 이번 사업을 통해 더욱 불거질 수 있다.

 

정부가 제시하는 또다른 이익으로서는 수질문제해결을 통한 물부족 문제 해결, 생태계 복원 등의 환경 측면의 효과가 있다. 하지만 이 또한 재검토의 필요성이 있다. 홍수가 발생하는 지역은 4대강 지역보다는 주변 산간지역 등에서 많다. 4대강 사업이 실질적으로 홍수를 막을 수 있느냐에 대한 과학적 근거도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다. 수질 측면에서는 오히려 콘크리트 사용과 보를 이용해 물길을 막기 때문에 수질이 더 악화될 수도 있다.

 

80년대 후반 미국의 석유, 화학, 원자력 노조의 부위원장인 토니 마조치가 노동자를 위한 슈퍼펀드를 제안하면서 개념화된 것이 '정의로운 전환'이다. 이는 한 나라의 경제가 녹색 경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독성 경제' 노동자들의 실업 문제를 해결해줘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4~5년의 짧은 기간 안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충분히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실행해 나가야 하는 과제다. 현 정부는 너무 시급하게 이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 말고 한 나라의 큰 사업인 만큼 신중하게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성경훈(동암고 2학년)

 

전북일보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전주‘전주 실외 인라인롤러경기장’ 시설 개선…60억 투입

영화·연극제27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영화 출품 공모 시작

김제김제시 종자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 ‘파란불’

금융·증권미 증시 덮친 'AI 거품' 공포…한국·일본 증시에도 옮겨붙어

문화일반세대와 기록이 잇는 마을…부안 상서면 ‘우덕문화축제’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