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학부모 질문에 사례소개·원론적 답변만, 기본틀 마련도 미흡…이달중 신청 공고 차질
김승환호의 핵심공약인 혁신학교에 대한 공청회가 열린 15일, 400여명의 교사와 학부모 등이 참석하는 등 반응은 뜨거웠다.
하지만 전북의 학교를 혁신하겠다는 야심찬 계획과 달리 준비는 상당히 미흡해 보였다. 도교육청은 당초 이달 중으로 혁신학교 신청 공고를 내겠다고 했지만, 지금 같은 준비상태로는 도시형, 미래형, 전원형, 대안형 등 그간 밝힌 혁신학교의 틀조차 마련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다.
이날 오후 3시 도교육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혁신학교 추진을 위한 공청회'는 서길원 성남 보평초 교장이 '새로운 학교 운동의 방향과 과제'를 주제로 발제하고, 이항근 군산 회현중 교장, 원성제 남원 아영초 교사, 나영성 완주 삼우초 교장, 장세희 참교육학부모회 정읍지회장의 토론으로 진행됐다. 그리고 교사와 학부모 등은 질의응답 시간을 통해 다양한 질문을 털어놨다.
고창의 한 교사는 "혁신학교는 아이들이 행복한 학교라 하는데 구체적으로 무엇을 뜻하는가"라고 질문했고, 전주의 한 교사는 "농촌지역 작은학교도 중요하지만 도시지역 대규모 학교에도 소외된 이들이 많다"며 이에 대한 대책을 물었다.
또 전주의 한 초등학교 운영위원은 "혁신학교를 준비하기 위해 학부모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가"라고 궁금증을 털어놨고, 진안에서 온 학부모는 "혁신학교가 진정으로 성공하려면 교사가 지역에 뿌리박고 살아야 하는 것 아니냐"고 질문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답변은 경기도의 혁신학교 사례를 소개하거나 원론적인 답변에 그치는 등 만족할만한 수준이 아니었다.
"아이들을 성적으로 줄 세우지 않고, 아이들 입장에서 시간표만 바꿔도 행복하다", "우리도 도시형 중고등학교에 혁신학교를 세우는 방안에 주목하고 있다", "혁신학교는 학부모와 교사, 학교장 등 3주체의 학교상이 일치해야 한다", "교사들이 농촌마을로 들어가는 신브나르도 운동을 벌이고 이에 대한 행재정적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등이었다.
질의응답 말미에 도교육청 혁신학교추진위원회 소속이기도 한 이항근 교장은 "5차례의 내부 토론회를 거쳐 열게 된 이번 공청회는 앞으로의 내부 토론회를 활성화하기 위한 자리다"고 설명했다. 도교육청은 이달 중 혁신학교 설명회를 열고 공모에 들어간다고 밝혀 왔지만 상당부분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김승환 교육감은 인사말을 통해 "도내 모든 학교의 혁신을 이뤄가겠으며 그 선두에 혁신학교가 서게 될 것이다"며 "내년에 10개 학교를 지정하겠다고 했지만 이는 가변적인 숫자다"고 말해 내년도 도내 혁신학교가 예정보다 다소 늘어날 가능성이 있음을 내비췄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