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개 직종 6031명 …"근무조건 열악" 지적 / 강원도교육청은 5000여명 무기계약직으로
전국적으로 학교 비정규직에 대한 정규직 전환(무기계약직)이 잇따르지만, 전북도내 학교 비정규직에 대한 정규직 전환은 매우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도교육청에 따르면 도교육청과 도내 각급 학교에서 총 50개 직종에 6031명의 비정규직 근로자가 근무하는 가운데 언제든지 차별 받고, 해고될 수 있는 열악한 환경에 처해 있다.
학교 비정규직은 근로 방식, 근로 시간, 고용의 지속성 등에서 정식으로 채용되지 않은 직업. 임시적으로 근무하는 임시직, 시간제, 기간제, 일용직 등을 포괄한다.
도내에서는 영양사, 조리사, 조리원 등 급식종사원(2800여 명)과 교무실무사(790여 명), 특수교육지도사(390여 명) 등이 7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정규직 전환이 늦어지면서 미래 꿈나무를 육성하는 교육 현장부터 근로자의 차별과 고용 불안정을 부추긴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현재 도내 학교들은 모든 비정규직 근로자는 차치하고, 2년이상 근무하면 자동으로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상시직종 근로자들의 정규직 전환까지 미루고 있다.
올 초 도교육청이 정규직으로 전환할 수 있는 상시직종 근로자부터 정규직으로 전환해줄 것을 요구했는데도 불구, 아직까지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다른 시·도 교육청 등에서 상시직종은 물론 모든 비정규직 근로자들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을 적극적으로 보이고 있는 것과 대조를 이루고 있다.
실제 강원도교육청은 얼마 전 시·도 교육청 가운데 처음으로 아직 계약기간 2년이 지나지 않은 기간제 노동자 5000여 명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임시직 종사원들의 보다 안정된 생활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상시근로자뿐만이 아니라 사실상 모든 기간제 노동자 즉,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키로 했다.
서울시도 비정규직 1133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했고, 광주광역시와 전남도도 오는 2014년까지 전환키로 결정하는 등 비정규직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이 잇따르고 있다.
이에 앞서 정부는 지난해 말 공공부문 비정규직 고용개선 대책을 발표하며, 기존 비정규직 중 사실상 상시근로자를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공공운수노조 전북본부 공영옥 조직국장은 "학교 비정규직의 노동조건이 더욱 열악하고, 차별이 더욱 심하다"라며 "아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는 교육계부터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라고 요구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