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북교육 정책 방향은
올해 전북교육은 경쟁력 강화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는 김승환 교육감이 '강한 전북교육'을 표방한 것에서 그 단초를 엿볼 수 있다.
김 교육감은 주요 정책으로 △농산어촌 학교 교육환경 개선 △기초학력 신장 △보편적 교육복지 확대 등을 제시했다.
이에 도교육청은 농산어촌 학교 희망찾기 사업을 올해도 유지하면서 농어촌 교육지원 특별법 제정 및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개정 운동을 통해 작은 학교의 통·폐합을 적극 저지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을 점진적으로 줄여 학력신장을 꾀하고, 이를 위해 교사의 수업권을 보장한다는 방침이다.
보편적 교육복지의 질 개선을 위해 학교급식의 단가를 인상하고, 친환경 농산물 공급을 확대한다.
하지만 이 같은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선 교육과학기술부와의 관계 개선이 선행돼야 된다.
김 교육감은 차기 정부가 교육정책으로 제시한 교육복지 확대 및 학생간 경쟁 자제 등이 교육현장에 새 바람을 불러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박근혜 당선인이 공약으로 내건 고교 전면 무상교육과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무상화, 교원평가 단일화, 사교육비 경감 등의 정책에 대해 도교육청과 같은 곳을 보고 있다며 내심 반기고 있다.
하지만 김 교육감은 학교폭력 가해사실을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하라는 교과부의 지침을 끝까지 거부한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교과부가 물러서지 않는 한 양측의 갈등은 올해도 지속될 전망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