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장·교감에 무더기 발송…뒤늦게 "축의금 사절" 해명
자신의 딸 결혼식을 앞둔 도교육청 인사 담당 고위 간부가 친분이 많지 않은 전북 지역 교장·교감들에게도 청첩장을 발송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대해 교육계 일각에서는 "도내 교장·교감 등에게 청첩장 발송을 남발한 것은 직위를 이용한 것 아니냐"는 지적했고, 해당 담당자는 "대개 10년 이상 알고 지낸 교장·교감 등에게만 청첩장을 보냈다"며 억울해 하면서도 문제가 커질 조짐이 보이자 교장·교감의 축의금은 받지 않겠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교육계 관계자에 따르면 인사 담당 간부인 A씨는 다음달 5일 자신의 딸 결혼식을 앞두고 지역 내 상당수 교장·교감들에게 청첩장을 발송했다.
하지만 A씨의 청첩장을 건네받은 일부 교장·교감들은 '별다른 친분도 없으면서 청첩장을 발송한 것은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다'며 불쾌감을 숨기지 않고 있다.
특히 A씨가 인사 업무를 맡고 있다는 점에서 '후환이 두려워 청첩장을 받은 이상 모른척 할 수 없지 않느냐'는 반응이 두드러진다.
국민권익위의 공직자 행동강령에는 담당 공무원이 직장 동료들에게 청첩장을 돌리는 것은 문제되지 않는다고 하지만 김승환 교육감 부임 이후 도교육청이 각종 관행 등을 깨오며 청렴성·투명성을 강조해왔다는 점에서 교육계 안팎의 시선이 곱지 않다.
이에 대해 A씨는 "그동안 인연을 맺어온 교육계 인사들이 2000여 명도 넘는다.
스스로도 애경사를 찾아다닌 게 기억할 수 없을 만큼 많다. 그럼에도 교장·교감 등 150여 명을 비롯해 500명에게만 청첩장을 돌린 것"이라면서 "어차피 청첩장을 받아도 각자 가려서 가지 않느냐. 그런 점에서 비난 받아야 할 내용인지 확신이 안 선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