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등교시간 늦추기, 학생들 안전 위협"

일선학교 형식적 의견 수렴 뒤 졸속 추진 / 일찍 등교한 아이들 담당교사 없이 방치 / 전북도의회 김종철·조병서의원 지적

전북도교육청의 학교 등교시간 늦추기가 충분한 공론화 과정을 거치지 않은데다 일찍 등교하는 학생들에 대한 안전 대책도 거의 없어 졸속 추진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도의회 김종철 의원(전주7)은 12일 교육·학예에 관한 질문을 통해 “교육감 공약사업인 등교시간 늦추기를 학교별 의견수렴후 실시하라고 일선 학교에 공문을 보낸 것이 9월 11일인데 불과 20일이 지난 10월 1일이 되자 무려 92.6%의 학교가 등교시간을 늦췄다”며 “오랫동안 이어져온 관습과 태도가 교육청의 공문에 의해 단 20여일만에 바뀐 것은 교육청의 일방적 지시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했다. 교육감 공약이라면 충분한 공론화과정이 필요한데도, 이러한 과정없이 일방적 지시로 추진되다보니 일선 학교에서는 충분한 준비를 하지 못해 대혼란에 빠졌다는 주장이다.

 

실제로 일선 학교들이 학부모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보낸 안내장에는 ‘아침식사로 가정의 화목을 도모하고 학생의 수면 리듬 보장 및 신체적·정신적 건강 증진에 도움을 주고자’, ’잠잘권리 확보와 과중한 학습부담 경감 및 가족과 함께하는 아침식사로 보금자리로서의 가정의 역할을 재정립하기 위해’ 등의 목적을 밝히고 ‘교직원 회의에서 등교시간을 늦추기로 결정했다’고 안내하면서 찬반 의견을 묻고 있다. 찬성을 강제하지는 않았지만, 의도적으로 유도하고 있다는 의혹을 피하기 어려운 내용이다.

 

안전문제도 도마에 올랐다.

 

김 의원은 “조기 등교학생에 대한 관리자료를 전주교육지원청에서 받아보니 초등학교는 운동장 체육활동, 스포츠 클럽 활동 등이 거의 전부”라며 “지난해 발생한 학교안전사고 4098건 중 운동장 사고가 1463건이나 되는 상황을 고려하면, 조기등교 학생에 대한 안전관리를 일선학교에 무작정 떠넘기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앞서 조병서 의원(부안2)도 11일 도정질문에서 “맞벌이 등 일찍 출근해야 하는 부모들은 학생을 일찍 보낼 수밖에 없는데 일선 학교에서는 이들을 담당하는 교사가 따로 없고 책임지려는 사람도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대해 김승환 교육감은 12일 답변에서 “초·중·고의 조기등교 학생은 모두 2만1397명이며 각급 학교에서 도서실과 컴퓨터실 개방, 스포츠 활동, 틈새 운동, 상담활동 등을 펼치고 있다”며 “조기등교 학생을 위한 별도의 강좌를 만드는 것은 0교시를 부활시키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이성원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군산새만금 글로벌 K-씨푸드, 전북 수산업 다시 살린다

스포츠일반테니스 ‘샛별’ 전일중 김서현, 2025 ITF 월드주니어테니스대회 4강 진출

오피니언[사설] 진안고원산림치유원, 콘텐츠 차별화 전략을

오피니언[사설] 자치단체 장애인 의무고용 시범 보여라

오피니언활동적 노년(액티브 시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