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8 06:09 (Sat)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금요칼럼
일반기사

과거시험 답안지

한국지방신문협회 공동기획

▲ 이배용 한국학중앙연구원장

요즈음 부쩍 인적자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아무리 좋은 제도가 있어도 사람의 손길과 마음이 닿지 않으면 무용지물이 된다는 것을 수없이 보아왔기 때문이다. 그래서 학교에서나 직장에서나 유능한 인성이 좋은 인재를 선발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면서도 정작 선발시험은 채점의 편의를 위해 사지선다 내지 오지선다형 출제를 하니 능력과 인격과 지혜를 가름하기는 어림도 없다.

 

국가 경영 관련 유생들 지혜 모아

 

과거는 현재만 못한 것으로 쉽게 생각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사람이 근본적으로 바뀐 것은 아니고 더구나 기계문명에만 의지하고 물질만능의 풍조, 실용성에만 치우치다 보니 생각하는 교육, 이상과 소신을 물어보는 시험은 뒷전으로 밀리고 암기를 통해 찍어내는 시험에만 익숙해졌다.

 

고려 광종 때부터 시행된(958년) 과거제는 조선시대에 최고 권위의 인재 선발 시스템으로 정착했다. 본질적으로 개인 능력을 중시했던 과거제는 자연스럽게 신분 이동 통로가 됐으며, 공부와 교육의 중요성을 더욱 고양시킴으로써 지식문화 수준을 한 단계 격상시켰다. 물론 후대 역기능적인 측면도 없지 않았지만 무엇보다도 관료가 되고자 하는 이들에게 공직자로 갖추어야 할 도덕적 기본 자질은 물론 국가운영의 현안과 고충을 위한 해답과 지혜를 얻으려 했다는 점에서 가장 바람직한 인재 선발책이었음은 분명하다.

 

과거시험 답안지를 보면 답안의 내용도 훌륭하지만 임금의 질문의 솔직함에도 감탄이 절로 나온다. 한 예로 조선왕조 제11대 임금 중종(1488~1544)은 1515년 과거시험에 이런 문제를 냈다. “내가 부족한 덕으로 다스린 지 10년이 지났는데도 아직도 나라의 기강과 법도가 세워지지 않으니 요순시대 정치에 이르려면 어떻게 하여야 하는지 대책을 논하라.”

 

이 질문에 조광조는 거침없이 그의 소신을 장문의 답안지에 피력했다. 첫째, 임금은 하늘의 이치로 사람을 인도하고 감화시켜야 하는데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 둘째, 임금이 하늘이라면 신하는 사계절이라 할 수 있는데 신하들을 잘 활용해 조화의 정치를 해야 한다. 셋째, 명도(明道)와 근독(謹獨)인데 항상 도를 밝히는데 전념하고 누가 보나 안보나 한결같은 마음으로 늘 삼가며 지켜야 할 도리를 강조했다. 마지막 구절에는 죽음을 무릅쓰고 이 답안을 썼다고 비장의 각오로 표현했다. 이와 같은 젊은 유생들의 생각은 참신할 뿐만 아니라 그동안 집념을 가지고 공부했던 지식과 지혜를 동원해 열정을 다해 답안을 작성했다. 정몽주의 문무병용 방안, 정약용의 오객(五客)이라는 제목으로 인재를 재능에 따라 적재적소에 배치해야한다는 답안, 박세당의 세금 경영 등 재정을 국가시스템으로 정착시켜야 한다는 제언 등 그들이 작성한 답안지, 즉 시권(試券)에는 영혼이 있고 감동이 느껴진다.

 

당시 임금이 가장 관심을 가졌던 시제(試題)는 나라의 안정적 발전에 기여할 양질의 인재, 세금제도 등 사회경제적 장치의 효율적 운영, 도적 방지 등 사회 안전망 강화, 신하와 백성과의 화합, 왕도정치 실현 등 정치·경제·사회·문화·교육·국방·외교를 총 망라해 시대정신에 따라 다양했다. 과거시험을 통해 임금과 신하와 유생들이 서로 존중하면서 소통하는 가운데 국가경영의 지혜를 모으는 것이었다.

 

역사 속에서 합리적 대안 찾아야

 

지금의 대학입시 또는 국가고시에 식견과 경륜을 묻는 항목이 없는 것은 전통의 단절이다. 우리는 늘 온고지신을 외치지만 그것의 구체적 실천과 적용에는 소홀하다. 현행 시험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만 낼 것이 아니라 그 합리적인 대안을 찾아야 한다. 때로 그 대안은 결코 멀지 않은 곳에 있으며 전통 속에 그 해답이 있을 수 있다. 이것이 우리가 역사를 알아야 하는 이유다.

 

△이배용 원장은 이화여대 총장을 지냈으며 통일교육위원 중앙협의회 의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