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공동 학술포럼 열고 학·연 협력모델 구축 모색
전북대학교가 식품 분야 정부 출연 연구기관인 한국식품연구원과 함께 '제1회 공동 학술포럼을' 열고 대학-연구기관 간 네트워크를 공고히 했다.
이번 포럼은 지난해 전북대가 글로컬대학에 지정됨에 따라 글로컬대학30 사업의 추진 과제 중 하나로 대학과 연구기관 간 ‘혁신융합 공동캠퍼스’구축 계획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앞서 전북대와 한국식품연구원은 혁신융합 공동캠퍼스 구축과 학·연 협력 및 공동연구를 위해 지난해 5월 협약을 체결하고 학·연 협력 및 지역특화 분야별 공동연구에 협조하기로 약속한 바 있다.
지난 14일 열린 포럼에서는 글로컬대학30 사업의 주요 사항과 양 기관 간 3개의 공동연구팀이 혁신융합 과제를 발표했다.
또한 오택림 전북특별자치도 미래산업국장이 ‘전북특별자치도 생명산업 범위와 산업 육성 전략’을 주제로 한 기조 강연도 이어졌다.
전북대-식품연 간 글로컬대학 혁신융합 과제 발표에서는 임수만 전북대 유연인쇄전자전문대학원 교수가 ‘과채류의 과잉 퀘르세틴에 의한 건강 이상 예방을 위한 현장형 검출 센서 개발’ 과제를, 한국식품연구원 최영민 연구원이 ‘푸드테크 기술 확산을 위한 원시 식품 데이터의 이미지 변환 기반 딥러닝 기술 개발’을, 이상희 연구원이 ‘노인의 근감소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개발을 위한 BCAA(분자아미노산)이 근위축 관련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및 골다공증으로 인한 Sarcopenia 개선 효과 연구’를 각각 발표했다.
이번 포럼을 시작으로 전북대는 글로컬대학30 실행 목표에 따라 한국식품연구원과의 공동연구를 기점으로 전북테크노파크, 전북연구원, 안전성평가연구소, 농촌진흥청 등 지역 주요 연구기관과 공동융합연구를 확장해 나갈 방침이다.
또한 장기 목표로 공동연구 성과물의 기술 사업화와 지역 기업으로의 기술이전을 통해 전북특별자치도의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나아가 기업 수요 맞춤형 인재를 양성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 정주여건 개선 등의 선순환을 이뤄내 지역혁신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양오봉 총장은 “이번 포럼은 대학과 지역의 핵심 연구기관이 융합 공동연구의 중요성을 공유하는 자리이자 지역 산업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혁신융합 공동캠퍼스 구축 사업의 첫발을 떼는 의미 있는 자리”라며 “대학과 연구기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지역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지역민 모두가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이 사업을 잘 수행해 우리 지역이 새롭게 비상하는 계기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