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사료 섭취량 30%이상 줄고 모돈 임신률도 감소
7월 9일부터 8월 4일까지 가축 6만 8000여 마리 폐사
5일 오전 김제의 한 양돈농장. 축사 벽면에는 PVC배관이 연결돼 물이 흐르는 검은색 창문과 비슷한 시설이 설치돼있었다.
농장을 운영하는 강정우 씨(50)는 2년 전 폭염으로 돼지의 폐사를 지켜만 봐야 했던 과오를 다시 겪고 싶지 않아 2500여만 원을 들여 설치한 축사 전체에 설치한 ‘쿨링패드’라고 설명했다. 물탱크의 물을 끌어와 축사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시설로 대형 펜으로 바람을 일으켜 축사 내부 온도를 4도에서 6도 정도 낮출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외부 기온은 34도였지만 축사 내부 온도는 28도에 불과했다.
축사 안에 있는 새끼돼지들도 비교적 시원한 온도에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다. 한 새끼돼지는 그래도 더위가 가시지 않는 듯 물통에 담긴 물을 허겁지겁 마시기도 했다.
3100마리의 돼지를 키우는 강 씨는 올해 여름이 유난히 지독해서 지붕에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거나 쿨링패드 등을 설치해도 피해가 막심하다고 토로했다.
강 씨는 “더위에 약한 돼지는 폭염으로 스트레스를 받으면 사료 섭취가 30% 이상 줄어들어 성장이 늦어지고 모돈의 임신률이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에 자돈 생산에도 큰 차질이 생긴다”며 “성장이 지연됐던 돼지들이 한해 중 돼지가격이 가장 높은 6~8월에 출하되지 못하고, 9월과 10월에 집중적으로 출하가 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피해를 보게 된다”고 하소연했다.
이어 “냉방기를 24시간 내내 가동하기 때문에 다른 계절보다 전기세도 30%이상 올랐다”고 말했다.
하지만 강 씨는 우리 농장이 받는 피해는 극히 일부일 뿐 아직 재래식으로 운영하는 영세농가의 피해는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막심하다고 말했다.
전북도에 따르면 지난달 9일부터 이달 4일까지 폭염으로 닭 6만 5930마리, 돼지 1522마리, 오리 500마리가 폐사했다.
이에 도에서도 축산농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대책을 내놓고 있다.
전북도 축산과 관계자는 “폭염에 취약한 가축을 기르는 농가를 대상으로 상황을 지속해서 점검하고 있다”면서 “폭염 스트레스 완화제 지원, 사육시설 환경개선사업 등 167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