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인 우방인 미국과 영국이 인간배아 복제 문제를 두고 유엔에서 치열한 대결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영국의 파이낸셜 타임스 인터넷판이 20일 보도했다.
유엔 191개 회원국은 21일부터 이틀간 유엔 법률위원회에서 인간배아 복제에 관한 국제 협약의 채택 여부를 놓고 찬반 논쟁을 펼친다.
복제 반대국들은 난치병을 치료하기 위한 의학연구용 복제와 복제 아기를 낳기 위한 생식용 복제 사이에 도덕적인 차이가 없다면서 반대하고 있으나 복제 찬성국들은 치료 목적의 복제는 허용되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회원국들 중 미국, 이탈리아, 포르투갈, 코스타리카, 아프리카 다수 국가들과 미국 동맹국들은 유엔이 복제 전면 금지 협약을 긴급한 일로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영국, 한국, 일본, 벨기에,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은 유엔의 복제 관련 협약이 생식 복제만을 금지해야 하고 치료 복제는 각국 정부 관할 영역으로 남겨 두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프랑스도 최근 이 주장에 동조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유엔은 복제 논쟁을 1년간 연기했으며, 이에 따라 각국이 자국 입장에 따라 로비를 벌여왔고, 복제를 지지하는 과학계도 이 문제에 압력을 가해왔다.
모로코 출신의 유엔 법률위원회 모하메드 벤노우나 의장은 현재 단계에서 복제 관련 국제협약을 채택하기 위한 투표를 실시하기는 여전히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현재 이슬람 국가 진영은 복제 문제에 대해 의견이 결정돼 있지 않다.
벤노우나 의장이 제안하는 절충안은 유엔에서 양쪽 진영이 모두 합의하는 생식 목적의 복제를 반대하는 정치적이고, 비구속적인 결의안을 채택하는 것이다.
또 한국측은 내년 초 유엔에서 과학자들과 전문가들이 참가하는 복제 관련 국제회의를 개최하자고 제안하고 있으나 치료 목적 복제를 반대하는 국가들이 이 제안을 거부하고 있다.
미국 관리들은 충분한 지지국들만 확보하면 복제 전면 금지 협약을 투표로 통과시킬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