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호 사회부 기자
전주문화재단이 재단의 목적과 역할도 정립하지 못한 채 표류하고 있다.
지난해 5월 재단설립 관련 예산이 수립된 이래 10개월이 지났음에도 아직 기본적인 성격 규정작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당초의 올 3월 설립계획은 물건너 갔고, 현재로서는 언제쯤 설립될지 조차 모르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속에서 재단운영의 당사자격인 전주시와 문화예술단체는 발단원인을 놓고 서로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다.
먼저 지역문화예술계에서는 시의 준비부족을 지적하고 있다.
시가 ‘재단을 어떻게 운영하겠다’는 방향조차도 제대로 정립하지 않은채 사업을 추진해 이런 사태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이들은 시가 설립목적 규정작업을 문화예술계에 떠넘기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시는 “그동안 관(官) 주도로 해왔던 문화예술사업을 민간으로 이관시키려는 것이 기본취지인 만큼 예술단체들의 의견을 반영시키기 위한 절차진행”이라고 해명했다.
시는 문화예술계가 성격을 규정해주길 바라고 있고, 문화예술계는 행정기관이 구체적인 방향을 설정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는 형국이다.
이에대해 일부에서는 문화재단설립에 대해 회의적인 이야기마저 흘러나오고 있다.
시가 제시한 ‘각종 문화예술행사의 지원과 문화행사 및 시설운영에 대한 평가’라는 기본적인 재단운영 방안을 살펴볼 때 문화재단은 ‘옥상옥’의 기구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즉, 재단이 설립되더라도 시의 예산을 지원받아 운영되는 등 행정기관으로부터 자유스러울 수가 없는데, 굳이 각종 문화사업을 관장하는 기구를 별도로 만들 필요가 있느냐는 것이다.
특히 재단이 설립되기도 전부터 손발이 맞지 않아 삐걱거리고 있는 상황인터라 그에대한 지적은 더 크게 나오고 있다. 현재까지 제기된 문제점을 보면 재단이 설립된 후에도 운영과 관련된 논란은 끊이질 않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자칫 분란만을 초래하게 될 재단의 설립문제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다소 섣부른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