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강대택의 알쏭달쏭 우리말] 자린고비의 교훈

'자린고비'란 몹시 인색하거나 지나칠 정도로 아끼는 사람을 가리킨다.

 

그 어원은 '결은고비'라는 설화(한 민족 사이에 전승되어 온 이야기)에서 찾을 수 있다.

 

옛날 충주에 사는 한 양반이 부모 제사 때 마다 쓰고 태워버리는 지방(紙榜)이 아까워서 꾀를 낸 끝에 정성껏 쓴 지방(종이로 만든 신주:神主)을 태우지 않고 기름에 결여 두고두고 썼다고 해서 '결은지방'의 뜻으로 '결은고비'라는 말이 쓰이게 되었고, 이것이 전해지는 과정에서 '결은고비→저린고비→자린고비'로 바뀌게 되었다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고비(考?)'는 '죽은 아비 고·죽은 어미 비'로 알 수 있듯이 '돌아가신 아버지와 어머니'를 일컫고 '겯다'는 '기름에 흠뻑 배다'는 뜻이다.

 

여기서 우리가 배울 수 있는 점은, 살아가면서 너무 인색해서는 안 된다는 것과 아울러 하찮은 것도 함부로 버리지 않고 절약하는 정신을 높이 사야겠다는 것이다.

 

그러고 보면 천장에 매달아 놓은 조기만 쳐다보며 밥을 먹었다는 속담도 '자린고비'에서 비롯된 것임을 짐작할 수 있겠다.

 

이와 비슷한 얘기로, 경상도 산간지대에서는 인색한 사람을 '세 마리 밴댕이'라고 한다.

 

경상도 순흥골의 만석꾼인 황부자가 1만석을 채울 때까지 자기 아버지의 재삿상에 가장 값싼 밴댕이 세 마리만 놓고 제사를 지냈다 해서 생겨난 속담이란다.

 

자린고비 이야기는 비단 우리 나라 뿐만이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 널리 퍼져 있는 것을 보면 그 교훈 또한 소중히 간직해야 할 인류 문화유산이 아닌가 싶다.

 

전북일보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