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타향에서] 어린이 유괴사건을 보면서 - 김성진

김성진(前 조달청장)

몇 년 전 온 나라를 떠들썩하게 했었던 연쇄살인범 유영철의 살인 사건을 모티브로 만든 영화 '추격자'가 극장가에서 많은 관객을 끌어들이고 있다. 필자도 얼마 전 이 영화를 보면서 잠시도 긴장을 늦출 수 없게 만드는 짜임새 있는 구성에 적잖게 놀랐다.

 

그런데 우연일까? 흉악사건이 계속 터지고 있다. 젊은 시절 유명했었던 어느 야구 선수에 의한 모녀 일가족의 살해암매장 사건으로 떠들썩하더니, 지난 해 말경 실종되었던 경기도 안양의 두 여자 어린이 납치살해사건이 지면을 장식했다.

 

또 바로 며칠 전에는 경기도 일산에서 초등여학생 납치미수사건이 있었다. 같은 아파트에 사는 사람이 비명소리를 듣고 뛰쳐나오자 용의자가 도주함으로써 다행히 더 이상의 피해는 없었다. 그런데 엘리베이터에서 나이 어린 초등학교 여학생이 성인 남자에게 마구 폭행을 당하는 광경이 아파트의 폐쇄회로에 찍혔고, 이 장면이 공중파 방송을 통해 생생히 방영됐다. 그런데도 경찰이 이 사건을 단순폭행사건으로 처리하려 했다고 시끄럽다.

 

큰 사건이 터질 때마다 거의 빠짐없이 지적되곤 하는 것이 있다. 바로 경찰에 대한 비난이다. '초동수사 미흡, 늑장 대처, 부실수사, 수사망에 들어온 범인 풀어줘' 등 많은 비난이 가해진다. 그러다가 시간이 흐르면 언제 그랬느냐는 듯이 잠잠해졌다가 다시 사건이 터지면 또 야단법석이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격언은 이미 지나버린 어쩔 수 없는 것에 투자하는 어리석음을 경계하기 위한 것이지만, 만에 하나 외양간이 잘못되어 있다면 다시 소를 잃어버리지 않기 위해서라도 외양간을 고쳐야 하는 법이다.

 

경찰의 대응에 문제가 있다면 그 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고 가능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희생양을 만드는 것이 한 때의 위안이 될 수는 있으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보다 냉철한 자세가 요구된다.

 

날로 지능화해가는 범죄에 맞추어 경찰 장비나 시스템은 과학화되고 있는가?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하여 경찰의 전화감청 및 위치추적시스템의 접근과 같은 범인 추적기능은 적정하게 허용되어 있는가? 아동범죄 예방을 위한 경찰과 민간의 역할 분담은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이러한 것들에 대한 사회적 컨센서스를 이루어내야 할 것이다.

 

특히 경찰과 사회의 적정한 역할 분담은 매우 중요하다. 일산 납치미수사건이 터진 바로 그 날 경찰청이 발표했던 '아동·부녀자 실종사건 종합치안대책'을 보더라도 경찰의 힘으로는 하기 어려운 것들이 적지 않다.

 

어린이 유괴사건을 줄이려면 경찰은 물론 가정 학교 사회 모두가 주체적으로 각각 제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런 인식을 가질 때만이 보다 실효성 있는 방안의 마련이 가능할 것이다.

 

낮은 보수와 열악한 근무환경에 시달리는 경찰에만 모든 책임을 돌리지 말고 우리 모두 책임을 같이 하려는 자세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것이 아닐까?

 

/김성진(前 조달청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사건·사고군산서 흉기 들고 거리 돌아다니던 60대 검거

정치일반이틀째 밤샘수색에도 울산화력 실종자 2명 못찾아…수색 계속

자치·의회임승식 전북도의원, 노인 임플란트 지원근거 마련

김제김제시 자전거 서포터즈 ‘따르릉 탐험대’ 발대식

임실제10회 임실 아삭아삭 김장페스티벌 SNS에 참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