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하는 게 아니라 못하는 것입니다"
대한전선 경영관리실 이영희 상무는 지난달 28일 본보와 가진 전화인터뷰에서 "회사에서 사업을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현 시점에서 사업을 진척시키기가 어렵다는 입장을 무주군수와 군의장에게 전달했으나 사업을 포기하는 것으로 주민들이 오해를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동안 별 의지를 보이지 않다가 경제 여건 등을 이유로 포기하는 수순을 밟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도 이 상무는 강하게 부정했다. 기업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계획 단계부터 컨소시엄 구성을 전제로 했으며, 올 연초 투자자를 모으기 위한 물밑 작업을 꾸준히 진행했다는 것. 그 결과 20여개 기업과 단체 등에서 관심을 가졌고, 그중 자금능력과 적극적 의지를 가진 업체 및 단체 6개로 압축해 컨소시엄 구성을 진행시켰다고 했다.
이 과정에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시장에 문제가 생겼고, 참여 의사를 밝혔던 기업들도 지난 6월과 7월 사이에 하나 둘씩 뒤로 빠지게 됐다고 설명했다.
"컨소시엄도 안되고, PF시장도 안되는 상황에서 대한전선만 다그친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닙니다. 세계적 흐름이 있는 데 무작정 사업을 하라고 하면 대한전선 보고 죽어라는 이야기며, 기업이 망하면 누가 책임질 수 있습니까."
그렇다면 어떤 문제가 해결돼야 사업을 착수할 것이냐는 물음에, 이 상무는 "W지금으로선 말할 수 없다"고 답했다. 다만,대한전선이 20~30% 지분을 갖는 컨소시엄 구성과, 전체 소요 사업비의 40% 정도가 PF시장에서 조달될 수 있는 여건이 기본적으로 필요하다고 말했다.
컨소시엄 구성에 정부 투자기관의 참여나 국책사업으로 끌고 가는 방안도 고려됐으면 하는 바람도 나타냈다. 전북도에서 건의하고 있는 제도적으로 관광레저형 기업도시의 규모를 축소하는 것도 방안이 될 수 있으나 큰 흐름에서는 결정적 변수로 보지는 않았다.
기업도시 지정으로 인근 주민들이 재산권 행사에 제한을 받으며 피해를 보는 문제와 관련, 그는 일시적으로 라도 제한을 풀어준 후 경기호전에 따라 투자가 가능할 때 다시 묶도록 할 것을 정부에 건의했단다. 이 경우 시설 투자 등에 따라 향후 토지보상비 인상 등으로 기업도시 추진이 더욱 어렵게 돼지 않겠느냐는 지적에 대해 "축사가 망가져 비가 오는 데도 고치지 못하는 것은 문제 아니냐"고 했다. 농가의 반발이 기업으로 화살이 집중되는 문제에 대한 부담으로 보였다.
회사의 향후 계획 등 공식적 입장을 주민이나 언론을 향해 밝히지 않겠느냐는 질문에 대해 이 상무는"희망적인 새로운 내용 없이 곤란하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