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상권 붕괴·소상공인 몰락 등 부작용 / 김종철 도의원, 道 컨트롤타워 역할 강조
전북도내 인구가 줄고 있으나 주택은 과잉공급되면서 기존상권 붕괴와 소상공인 몰락 등 부작용이 적지 않아 전북도가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북도의회 김종철 의원(전주7)은 8일 열린 제324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통해 “과도한 주택공급 정책으로 전주시의 공간은 넓어지고 높아지고 있지만 전주시민은 오히려 가난뱅이로 전락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전북도의 인구는 지난 2004년 이후 10년 동안 3만7000여명이 감소했으나, 같은 기간 동안 아파트는 131개 단지에서 4만7408세대나 분양돼 주택보급률이 112.9%를 보이고 있다. 전주 송천·효자·하가·신시가지, 군산 소송, 익산 배산 등 14곳에서 택지개발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게다가 현재도 전주 만선·효천·에코시티, 군산 신역세권·미장, 완주 삼봉 등 6곳에서 택지개발이 진행되고 있고, 앞으로 전주 천마·여의, 익산 부송 등지에서도 택지개발이 계획돼 있다.
사업승인을 받아 분양을 기다리는 아파트만도 전주 12개 단지 6453세대, 군산 3개 단지 1871세대 등 모두 21개 단지에 8805세대나 된다. 택지개발이 계속되면서 신규 아파트도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김 의원은 “전주시의 중심지만 보더라도 1980년대 중앙동 시대에서 오거리 시대로 1990년대 중화산동 시대를 지나 2000년 아중리 시대로, 그리고 현재 서부신시가지 및 혁신도시 시대를 지나면 또 송천동 에코시티 시대로 도심이 옮겨다니고 있다”며 “문제는 개인사업자들이 도심지 이전을 따라다니면서 기존 상권이 붕괴되고, 개인사업자들은 비용을 제대로 감당하지 못해 막대한 손실을 입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라고 들고 “도심을 아파트 숲으로 물들이고 있는 것이 단체장의 업적은 아니며 전북도가 주택의 수급을 조절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