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텐트론 약화 ·'자강론' 힘 / 당지지율 고착화 만회 포석 / 일각선 확장성 포기 분석도
국민의당이 지난 15일 전당대회 이후 대선준비를 안철수 전 대표를 중심으로 하는 모양새다. 최근까지 당내 의원들 간 ‘자강론’과 ‘연대론’을 두고 논란이 일었지만, 전당대회 이후 빠르게 ‘자강론’으로 정리하는 것처럼 보인다.
특히 최근 귀국한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과의 선긋기에 나서면서 ‘빅텐트론’도 점차 약화되고 있다.
국민의당 지도부는 최근 들어 안 전 대표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전당대회 전까지 “손학규·정운찬·반기문 총장 등을 다 받아들여 제3지대에서 경선을 하겠다”며 외연확장을 주장하던 박지원 당대표는 최근 언론을 통해 당의 대권주자로 ‘안 전 대표만’을 인정하는 듯한 발언을 하고 있다. 다른 당 지도부도 ‘안철수 대통령 후보’에 팔을 걷어붙이는 모습이다.
반 전 총장과의 연대에도 적극적인 선긋기에 나섰다. 박 대표는 반 전 총장의 국민의당 합류에 대해 “문을 거의 닫았다”고 했다.
당 지도부가 앞장서서 반 전 총장과 선을 긋고 안 전 대표를 집중지원하는 데는 추락한 당 지지율이 고착화되는 것을 돌파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풀이된다.
그간 반 전 총장과 바른정당과의 연대론 등으로 당 정체성이 오락가락해 지지율이 하락했던 것을 만회하겠다는 의도다.
또 국민의당 지지율을 회복할 수 있는 주자도 안 전 대표 정도라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한 당직자는 “대권 도전을 선언한 천정배 전 대표나 대권 도전을 저울질하는 정동영 의원이 있지만 이들이 당을 띄울 만한 대중지지도나 대표성을 가지진 않는다”고 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진보’와 ‘보수’를 넘나드는 확장성을 스스로 거세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안 전 대표가 낮은 지지율에도 당내 대선 후보로 남아있었던 이유는 국민의당이 여야에서 주류가 되지 못한 세력을 껴안는 전략 때문이었는데, 안 전 대표 일변도로 가면 이같은 확장성을 저해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또 당 지도부의 일방적인 안철수 지지는 손학규·정운찬 등 다른 주자들의 합류를 저해하면서 오히려 당의 입지를 좁게 만들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다른 주자들이 안 전 대표의 ‘들러리’역할을 위해 국민의당에 모이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정치권 관계자는 “당내에서 자체 집권이 어렵다고 판단되면 야권연대론이 다시 등장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