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중심지 용역 보고서, 전북 금융중심지 통해 남북경협 모델 구성 제안
농생명·연기금을 특화시켜 남북교류 및 국제협력관계 구축계획 담아
농진청, 식량과학원, 축산원 등 농생명산업 활력 제고해 농생명 분야 입지 다져야
전북혁신도시가 농생명·연기금 특화 금융중심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남북경제협력 사업과의 연계를 강화시켜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 15일 공개된 ‘금융중심지 추진전략 수립 및 추가지정 타당성 검토를 위한 연구용역’ 원본에서 권고된 내용이다.
전북 제3금융중심지 지정은 문재인 대통령 공약사항으로 남북경협을 최우선 국정과제로 삼고 있는 현 정부 기조와 맞아 떨어진다는 점에서 농생명을 특화시킨 금융중심지 토대 마련이 요구된다.
용역 원본에서는“한반도의 긴장완화 및 남북경제협력 진전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전북의 특화부문인 농생명 산업을 통한 남북경협 추진방안을 도출해야한다”며“이를 통해 금융중심지 기반을 공고히 하는 하나의 계기를 삼는 것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
또“대북제제 완화로 북한이 향후 경제개발 및 대외개방에 본격적으로 나설 경우 남북농업협력을 통해 농업부문의 생산성 증대를 도모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전북혁신도시가 단순히 대한민국이 아닌 중장기적으로 남북의 경제통합, 더 나아가 동북아의 금융중심지로 발전할 수 있는 비전을 제시해야 보다 발전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판단했다.
실제 지난 2005년 남북은 합의서 채택을 통해 △협동농장 협력 △종자관련 협력 △농업과학기술 협력 △산림 협력 등 다양한 농업부문에 걸친 다양한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
하지만 정치지형 변화 및 대북제재 등의 영향으로 진척을 이루지 못했다는 게 용역 보고서의 내용이다.
용역에는“농생명 분야의 기반이 확고해지면 이와 관련된 금융지원도 자연스럽게 이뤄질 것”이라며“이를 토대로 전북혁신도시에 농생명과 관련된 금융수요가 형성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전북혁신도시에 위치한 농촌진흥청, 식량과학원, 농업과학원, 축산과학원 등 농생명 부문 관련 기관과 대북관련 경제협력사업을 확대하고, 남북간 교류협력을 증진시킨다면 농생명산업의 활력이 제고되는 동시에 자연스레 전북 농생명 분야의 입지가 보다 공고해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