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저지 에어로팜 방문
송하진 전북도지사가 세계 농업계의 ‘애플’로 불리는 ‘에어로팜’을 찾아 고령화 된 농촌의 해법 찾기에 나섰다.
송 지사는 첨단기술 적용을 통해 청년들의 농업 기피현상을 타파함으로써 인구 유입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법에도 큰 관심을 보였다.
30일 송 지사는 전북 농업의 기술력 제고와 미래 농산업 발전을 위해 미국 뉴저지 뉴어크에 위치한 에어로팜을 방문했다.
에어로팜은 지난 2004년 설립된 미국 3대 스마트팜 기업 중 하나로 꼽히며 농업기술분야에서 대표적인 신생 벤처기업으로 전 세계에 9개의 수직농장을 운영하고 있다.
수직농장 (vertical farming)이란 인공 구조물 내에서 생육환경을 인공적으로 제어해, 자연환경과 무관하게 농작물 재배가 가능한 아파트형 ‘식물공장’으로 사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한다.
이곳은 뉴저지 주 뉴어크의 공업단지 내 폐 공장을 개조해 세계 최대 규모(연면적 6,400㎡)의 수직농장을 개장해 빈민가였던 이 지역의 신규 일자리 창출에 기여했다.
송 지사는 “삼락농정을 앞세운 전북농업의 미래가 지속가능하려면 청년들의 유입이 절실하다”며“정보통신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팜 혁신밸리의 발전을 도모하는 한편 세계 우수기업의 선진사례를 벤치마킹해 정책에 활용하고자한다“고 말했다.
송 지사는 이날 뉴저지주의 기술창업 지원기관인 US-SBA(Small Business Administration)과 벤처기업 민간보육기관 NVP(Newark Venture Partners)을 방문해 농산업 분야 기술개발 지원 프로그램에 대해 논의했다.
그는 지식기술 기반 농업창업교육과 사업자금 지원을 통해 기술창업을 유도한다는 구상이다. 또한 미국의 사례와 정책을 벤치마킹해 IT, 금융 및 투자, 문화, 관광산업을 아우르는 혁신형 창업생태계 조성에 활용한다는 전략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