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경제보복 조치에 단호하고 강경한 입장 표명
일본의존도 극복 및 경제체질 개선 승부수 띄워
"일본과 과학전쟁 이겨야 경제주권 회복" 주장도
“과학전쟁에서 이겨야 경제주권을 회복할 수 있다. 극일 뛰어넘어 영원히 승리하는 길로 가자.”
송하진 전북도지사는 5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성명을 내고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에 대해 단호하고 강경한 입장을 표명했다.
송 지사는 “일본아베정부는 과거의 만행을 뉘우치기는커녕 오히려 경제적 정치적 보복을 자행하는 후안무치한 행동을 저질렀다”며 “전북도는 과거에 대한 반성과 사과 없이 우리나라의 경제주권을 흔들고 종속화하려는 일본의 야욕을 막는데 주체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일본의 후안무치한 태도는 세계적으로 앞서있는 과학기술에 대한 자신감이 밑바탕에 깔려있는 것”이라며“일본과의 과학전쟁에서 이겨야 우리의 경제주권을 회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일본의 경제보복 위기를 기회로 삼고 과학기술정책의 중심지로 부상하는 동시에 장기적 관점에서 일본에 대한 경제의존도를 줄이고 전북을 넘어 한국의 경제체질을 개선하려면 순수과학 분야에서 일본에 앞서야 한다는 것이다.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에서 우리 기업들의 충격을 줄이려면 우리나라가 그동안 도외시해온 것으로 평가받았던 순수과학 및 연구개발 분야를 강화해야한다는 게 송 지사의 생각이다.
전북도는 경제체질 개선과 근본적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북과학기술위원회 위원장(정무부지사)을 도지사로 격상시켰다. 송 지사가 직접 나서 농생명산업·재생에너지·전기수소차를 비롯한 상용차 산업은 물론 미래융복합 산업의 기초체력을 높여 나가겠다는 의지다.
송 지사는 “전북이 과학기술분야 및 R&D특화정책의 추진을 위해 요청했던 예산의 예타 면제와 함께 세계적인 흐름에 맞춘 신속한 결정이 선행돼야한다”며 “4차 산업혁명시대 근간은 과학기술에 있는 만큼 관료편의주의를 지양하고, 과감한 과학기술정책으로 일본의 경제침략에 맞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북과학기술원 설립에 대한 논의도 본궤도에 오를 전망이다.
과학기술분야 미래는 인재육성이 관건으로 국가적으로 과학 엘리트의 양성이 절실해졌기 때문이다.
송 지사는 “중앙정부가 우리 전북의 사례를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과학기술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반성의 계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