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집값을 잡기위한 정부의 부동산 규제로 애꿎은 전북지역 아파트 가격만 하락하고 있어 지역특색에 맞는 부동산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28일 한국감정원이 집계한 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도내 아파트 가격 변동률은 연속 10개월째 가격이 하락하면서 -3.85%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1.66%를 보였던 지난해보다 2배 이상 하락폭이 확대된 수치다.
이 때문에 재산가치 하락과 깡통전세 우려는 물론 주거단지의 양극화 같은 부작용이 초래되고 있다.
주거 기반시설이 풍부한 지역의 아파트 단지는 높은 분양가에도 치열한 청약경쟁을 보이면서 인기를 끌고 있는 반면, 기존 구도심 지역의 아파트는 가격이 계속 하락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실제 거래가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최근 전주 송천동 에코시티에서 분양에 나섰던 주상복합아파트는 60대 1이 넘는 청약경쟁 끝에 1순위에서 마감되면서 수천만원의 프리미엄이 형성되는 등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반면 전주 송천동 구도심 지역과 삼천동 등 구도심지역의 아파트는 매매가격이 최근 3년간 세대당 2000~3000만원씩 하락했지만 이마저도 거래절벽 현상을 보이고 있어 신규 아파트를 계약한 분양자들이 기존 아파트 처리에 애를 먹고 있다.
전북지역에서 20년 이상된 구형 아파트는 전체의 66%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부동산 업계는 파악하고 있어 전북지역 기존 아파트 가격 하락이 지속되면서 전세가격이 매매가격을 추월하는 역전세 현상에 따른 깡통전세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결국 지방 아파트 시장에서도 극단적인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전북지역 상황이 이렇지만 정작 수도권지역 아파트는 정부의 부동산 규제로 올해 초 잠깐 주춤세를 타다가 올해 중반기 이후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달들어서도 서울과 인천, 경기지방의 아파트 가격은 매주 0.02%~0.07%씩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공인중개사 협회 전북지부 노동식 지부장은 “주거환경이 뛰어난 신규 아파트 단지는 경쟁이 몰리고 있는 반면 구도심 지역은 지속하락하면서 양극화 현상과 함께 구도심 공동화 현상을 가중시키고 있다”며 “전북지역은 부동산 규제보다는 오히려 경기 활성화 정책이 필요한 상황이다”고 강조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